복합소재는 무도장 성형기술 개발로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대비 경량화에 성공했다.
현대자동차·기아는 별도의 도장 공정 없이 매끄러운 표면이 유지되고 차체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무도장 복합소재 성형기술 개발에 성공해 현대자동차의 전동화 비즈니스 플랫폼 모델 ST1 카고 루프 스포일러에 처음 적용했다.
무도장 성형기술은 컬러 원소재 안쪽에 열경화성 소재를 도포하는 공법으로 플래스틱 복합소재를 활용해 자동차 외관 부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일반 도장 공법을 적용한 것에 비해 높은 수준의 광택과 균일하고 다양한 발색 구현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루프 스포일러는 제작 과정에서 자동차 제조공정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40%를 차지하는 차체 도장과 동일한 도장·샌딩 작업이 필요했으나, 무도장 복합소재는 도장공정 생략을 통해 생산 과정에서 탄소배출 저감을 극대화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소재인 FRP에 비해 무게가 20% 이상 가벼운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자동차·기아는 무도장 복합소재 기술이 성형 자유도가 높고 다양한 컬러를 구현할 수 있어 다품종 소량 생산이 필요한 부품에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앞으로 후드 패널 등에도 적용해 수요기업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할 계획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은 4월 탄소섬유·복합소재 분야 글로벌 1위인 도레이(Toray) 그룹과 전략적 협력계약을 체결하고 경량화 소재인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를 공동개발하기로 하는 등 미래 모빌리티 신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KCC는 현대자동차·기아의 무도장 복합소재 개발에 따라 자동차용 페인트의 점진적 수요 감소가 예상된다.
최신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KCC는 2023년 페인트 사업 매출 비중이 26.4%로 주로 현대자동차와 HD현대중공업에게 선박용·자동차용을 공급했다. (김진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