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Styrene Monomer)은 유럽이 대폭락했다.
아시아 SM 시장은 국제유가가 배럴당 79달러대로 상승한 가운데 하락했고, 전주 크게 폭등했던 유럽은 이번엔 재고과잉으로 폭락했다.

SM 시세는 8월9일 FOB Korea가 톤당 1115달러로 15달러, CFR SE Asia는 1175달러로 20달러 하락했다. CFR China는 1125달러, CFR Taiwan은 1155달러로 각각 20달러 떨어졌고, 전주 급등했던 CFR India는 1175달러로 변동이 없었다.
국제유가가 8월9일 브렌트유(Brent) 기준 배럴당 79.66달러로 상승한 가운데 거래가 줄어들며 하락했다.
전주 급등했던 인디아는 꾸준한 공급이 이루어지며 수출로 이어지고 있으며 가격은 향후 며칠간 변동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원료 벤젠(Benzene) 현물가격이 FOB Korea 톤당 1015달러로 10달러 올랐지만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유럽은 FOB Rotterdam 톤당 1455달러로 250달러 폭락한 반면, 미국은 FOB US Gulf 파운드당 57.85센트 톤당 1275달러 수준으로 변동이 없었다.
지난주 공급문제로 급등했던 유럽은 반대로 재고 과잉으로 급락했다. 유럽 시장은 수요가 약세를 보이고 있고 공급차질로 인해 가격 변동성이 커졌다.
FOB USG와 FOB Korea의 스프레드는 톤당 160달러로 15달러 늘어났고, 여전히 한국-미국 운송코스트 30-40달러를 가볍게 넘어가며 미국 수출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Tianjin Dagu Chemical은 톈진(Tianjin) 소재 SM 50만톤 플랜트를 7월30일 정기보수 들어갔다. PetroChina Jilin Petrochemical은 지린성(Jilin) 소재 SM 32만톤 플랜트를 8월20일 정기보수할 예정이다.
Qingdao Haiwan은 7월2일 정기보수 들어간 산둥성(Shandong) 소재 SM 50만톤 플랜트를 8월초, Bora Lyondellbasell Petrochemical은 7월19일 정기보수 들어간 랴오닝성(Liaoning) 소재 SM 35만톤 플랜트를 8월초 재가동했다.
타이완 포모사케미칼(Formosa Chemicals & Fibre)는 마일랴오(Mailiao) 소재 No.1 SM 25만톤 플랜트의 가동률을 8월 80% 수준으로 감축했다. Taiwan Styrene Monomer는 린유안(Lin Yuan) 소재 No.1 SM 18만톤 플랜트의 가동률을 8월 높여 가동했다. Grand Pacific Petrochemical은 린유안 소재 No.2 SM 16만톤 플랜트의 가동률을 8월 높였다. 또한 가오슝(in Kaohsiung) 소재 No.3 SM 25만톤 플랜트 가동률을 8월 80% 수준으로 감축했다. 또한 가오슝 소재 No.2 SM 13만톤 플랜트의 가동률을 8월 80% 수준으로 감축했다.
일본 이데미츠코산(Idemitsu Kosan)은 도쿠야마(Tokuyama) 소재 No.2 SM 22만톤 플랜트를 8월3일 정기보수 들어갔다. (박한솔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