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대표 박상규)이 SK E&S 합병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 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 신청액은 3350억원 수준으로 SK이노베이션이 설정한 한도 8000억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으며 대다수 주주가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또 시장 예상치인 8000억-1조4000억원에 비해서도 낮게 종료돼 SK이노베이션은 5000억-1조원의 여유자금을 확보하게 됐다.
SK이노베이션은 8월27일 임시 주주총회에서 SK E&S와의 합병 안건을 참석 주주 85.75%의 압도적인 찬성률로 통과시켰고, 특히 외국인 주주의 합병 찬성률은 95%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식매수청구권이 예상을 크게 밑돌면서 SK이노베이션과 SK E&S는 예정대로 11월1일 매출 88조원, 자산 100조원의 아시아·태평양 최대 민간 에너지기업으로 새출발하게 됐다.
양사는 최근 추형욱 SK E&S 대표이사(사장)를 단장으로 하는 통합 시너지 추진단을 꾸려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핵심 사업을 유기적으로 연계하기 위한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통합 SK이노베이션은 기존 석유, 배터리 사업에 SK E&S의 LNG(액화천연가스), 전력, 신재생에너지를 더함으로써 에너지 포트폴리오를 강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복 인프라 결합에 따른 운영비용 절감과 신규 수요기업 확보를 통한 수익성 개선은 물론 전기화 사업 추진으로 인공지능(AI) 시대 폭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 기준 약 2조2000억원의 추가 수익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전체 EBITDA 목표치는 20조원 이상으로 설정했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양사 합병을 통해 안정적인 재무 및 손익 구조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며 “주주환원 정책을 적극 실행하고 합병 안정화 시점 이후 보다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을 실행해 주주의 기대에 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