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SKI: 대표 박상규)이 차세대 탄소 포집 분리막 기술을 개발했다
SK이노베이션은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와 연세대학교 연구진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저비용 고성능 차세대 탄소 포집 분리막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학계에서 분리막의 기체 투과성능을 높이기 위해 무기물을 첨가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가운데 공동 연구진은 유기물에 주목했다.
연구진은 분리막 소재에 유기물만을 활용해 머리카락 굵기의 500분의 1 수준인 200나노미터 두께로 고르게 코팅하는 박막 코팅 기술과 독자 개발한 유기물 첨가제의 시너지 효과로 무기물 없이도 높은 투과도의 분리막을 제조했다.
투과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도 낮아 대량생산과 상업화에 유리한 것으로 평가된다.
SK이노베이션은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LiB(리튬이온전지) 분리막 시장에서 글로벌 경쟁력과 상업생산 능력을 갖춘 SKIET와 탄소 포집 분리막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유기물을 사용한 탄소 포집 분리막은 발전소·철강·시멘트 등 탄소 배출량이 많은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성준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장은 “에너지·화학 R&D 과정에서 축적된 SK이노베이션의 기술 역량과 외부 전문기관과의 시너지를 토대로 일구어낸 성과”라며 “탄소 포집 분리막 상업화를 위한 연구개발에 매진하겠다”고 강조했다.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 SKIET 연구개발(R&D)센터,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김종학 교수 연구팀이 공동 연구한 차세대 탄소 포집 분리막 연구논문은 최근 글로벌 학술지 JMS(Journal of Membrane Science)에 게재됐다. (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