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CNT(Carbon Nano Tube)로 건식공정 2차전지용 도전재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한국전기연구원(KERI) 나노융합연구센터 한중탁 박사팀은 차세대 2차전지의 친환경 건식공정에 간편하게 적용되는 고분산성 CNT 파우더 제조기술을 개발했다.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CNT는 기존 2차전지 도전재로 사용하는 카본블랙(Carbon Black)보다 유연하고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1차원 나노 소재이다.
CNT는 차세대 2차전지 도전재로 사용하면 소량 첨가만으로도 에너지밀도를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나 응집하려는 성질
이 강해 서로 엉킨 구조를 형성해 바인더, 활물질 등과 균일하게 섞이지 않는 문제가 있다. 특히, 건식공정에서는 CNT를 용매가 없는 조건에서 다른 물질과 균일하게 혼합해야 한다.
한중탁 박사팀은 CNT를 파우더 형태로 만들어 응집을 최소화함으로써 건식공정에서도 활물질 및 바인더 소재와 균일하게 섞이게 하는 기술을 개발했으며 수년간 연구를 거쳐 CNT가 파우더 상태에서도 서로 뭉치지 않고 떨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까다로운 건식공정에서도 1차원 구조의 긴 CNT로 도전재를 만들어 고용량 배터리를 제조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으로 평가했다.
한중탁 박사는 “건식공정은 유독성 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용매를 회수할 필요도 없어 공정이 간소할 뿐만 아니라 생산비용도 저렴하다”며 “차세대 2차전지 기술 초격차 확보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