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배터리 관련기업들이 글로벌 리튬인산철(LFP) 시장에서 연구 성과와 질적인 측면에서 중국보다 우수한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에는 중국의 LFP 관련 특허 출원건수가 4695건으로 전체의 63%에 달하고 미국 11%, 유럽 9%으로 뒤를 이었으며 한국은 726건으로 약 10%를 차지했다.
그러나 LFP 배터리 관련 특허 출원건수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는 중국과 달리 한국은 특허의 질적 경쟁력과 새로운 연구 방향으로 기술적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특허 피인용 횟수와 특허 패밀리 수를 기준으로 평가되는 핵심 특허 수에서는 LG화학이 16건으로 글로벌 선두에 있기 때문이다. 특허 패밀리 수는 같은 발명에 기반한 특허들의 모임으로, 특허의 국제적 범위 및 확장성을 나타낸다.
SNE리서치는 LG화학이 단순 양적 특허 경쟁을 넘어 실질적으로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고품질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은 2000년대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 LFP 배터리 연구를 통해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왔으나 2010년대 중반 장거리 주행이 가능한 NCM(니켈·코발트·망간) 하이니켈 양극재 기술이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연구 방향을 NCM 중심으로 바꾸었고 LFP 관련 연구는 한동안 정체기를 겪었다.
하지만, 최근 셀 투 팩(CTP) 기술 발전으로 LFP 배터리 연구가 재활성화됐다. CTP 기술은 배터리 셀을 모듈화하지 않고 팩 단위로 연결해 LFP 배터리의 낮은 에너지밀도를 보완하면서 코스트 절감에 기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기업들은 기술적 진보를 바탕으로 다시 LFP 연구에 집중해 2020년 이후 관련 특허 출원도 급증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3년 말부터 중국에서 LFP 배터리 생산에 돌입했고, 삼성SDI도 2026년 양산을 목표로 ESS(에너지저장장치)용 LFP 배터리 개발에 들어갔다.
SK온은 2023년 3월 배터리 3사 최초로 전기자동차(EV)용 LFP 배터리 시제품을 공개하고 2026-2027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SNE리서치 관계자는 “LG화학과 같은 한국기업들이 높은 피인용 특허와 핵심 기술을 바탕으로 시장의 판도를 바꿀 가능성이 크다”며 “안정성과 경제성을 겸비한 LFP 배터리와 관련해 한국은 핵심 특허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적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