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석유화학산업과 미국발 관세 폭탄 대응을 논의하고 있다.
이승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은 4월7일 오후 2차전지, 석유화학, 섬유산업과 긴급 릴레이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산업부는 미국 수출 상위산업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조치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5개 산업의 주요기업, 협회 등과 함께 국내기업의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앞서 4월4일에는 가전·디스플레이, 기계산업과 회의를 가졌다.
산업계는 미국의 관세 조치에 따른 수출 감소 등 직접적인 피해 뿐만 아니라 베트남, 타이 등 해외기지 생산제품의 미국 수출 피해, 제3국 시장에서의 경쟁 격화 등을 우려하며 수출 바우처와 긴급경영자금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부는 산업별 상호관세의 영향을 분석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국내 산업의 근본적인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정부 역량을 총동원하는 동시에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을 4월8-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로 파견해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 미국 정부 주요 인사를 상호관세 인하 관련 협의에 나설 예정이다.
산업부는 뒤늦게나마 트럼프 2기 관세 정책에 대한 미국의 구체적 입장과 계획을 파악하고 관세 조치가 글로벌 통상 환경과 한국-미국 교역·투자 관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 한국의 우려를 전달함은 물론 25% 관세율을 낮추기 위해 협의할 계획이다. (윤우성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