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릴산에스테르는 원료가격과 함께 하락하고 있다.
중국은 아크릴산에스테르 내수가격이 수요 둔화와 알코올 가격 하락을 타고 2025년 초봄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계속했으며, 원료 아크릴산(Acrylic Acid)은 2024년에 비해서는 높은 수준이지만 하락 추세를 나타냈다.
2025년 4월까지도 경기침체로 가소제용 수요 둔화가 이어지면서 당분간 상승 전환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판단되고 있다.
아크릴산에스테르는 프로필렌(Propylene)을 원료로 제조한 아크릴산과 알코올을 반응시켜 얻으며 알코올별로 다른 에스테르 화합물이 생성돼 종류에 따라 합성수지, 수성 페인트 및 미술도구, 점‧접착제, 건축자재 등의 원료 모노머와 중간원료 등 다양한 용도로 투입되고 있다.
아크릴산에스테르 중국 내수가격은 3월 초부터 3월 말 사이 보합세를 나타냈으나 세부적으로는 품목별로 원료 알코올 가격에 따라 서로 다른 등락 폭을 나타냈다.
먼저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는 1월 톤당 1만250위안 전후, 2월 초 춘절 연휴 당시 1만1000위안 전후, 2월 말 1만1500위안 전후에서 3월 말 톤당 1만1700위안으로 상승했다. 메탄올(Methanol) 가격이 급격히 변동하면서도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계속한 영향으로 파악된다.
반면,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는 1월 9900위안 전후, 2월 1만100위안 전후로 상승한 후 3월 초부터 하락해 3월 말에는 다시 9900위안 전후 수준에 머물렀다. 에탄올(Ethanol) 가격이 3월까지 상승세를 유지한 후 하락 전환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는 1월 9700위안 전후에서 2월 초 9800위안 전후로 상승했으나 2월 말 9350위안 전후로 하락했고 3월 초 8600위안 전후로 급락한 다음 3월 말까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부탄올(Butanol) 가격과 함께 움직인 것으로 알려졌다.
2-EHA(2-Ethylhexyl Acrylate)는 1월부터 2월 초까지 1만600위안을 기록한 후 하락해 3월 말 9400위안으로 1만위안이 붕괴됐다.
원료 2-EH(2-Ethylhexanol) 가격이 주력 용도인 가소제용을 중심으로 수요 둔화가 심화되자 하락한데 따른 것이며, 에탄올 하락보다도 2-EH 하락이 더 큰 영향을 미쳐 2-EHA 가격이 원료 2-EH보다 낮게 형성됐다.
2-EH는 1-2월 주요 아시아 생산기업들의 불가항력 선언이 이어지면서 춘절 연휴를 앞두고도 수요가 회복되지 못했다.
여기에 가소제 시장의 변화도 2-EH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2-EH를 사용하는 DOP(Dioctyl Phthalate) 대신 INA(Isononyl Alcohol)를 사용하는 DINP(Diisononyl Phthalate)로 전환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INA도 경기침체 때문에 2-EH와 비슷한 가격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