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G(Monoethylene Glycol)는 등락이 엇갈렸다.
아시아 MEG 시장은 중국 내 폴리에스터 성수기 수요에 힘입어 상승했으나 동남아는 PTA 약세와 수요 부진으로 하락했다.

MEG 시세는 9월19일 CFR China가 톤당 523달러로 5달러 올랐지만, CFR SE Asia는 518달러로 5달러 떨어졌다.
중국 내 MEG 가격 상승은 폴리에스터 공장의 가동률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폴리에스터(Polyester) 섬유와 플래스틱에 대한 다운스트림 수요가 증가하면서 필수 원료인 MEG 수요도 함께 늘어나고 있다. 가동률 상승은 폴리에스터 제품 생산 확대를 위한 MEG 소비 증가를 의미하며, 이는 공급을 타이트하게 만들어 MEG 가격을 끌어올리고 있다. 또한 강화된 다운스트림 수요는 시장 신뢰를 높이는 신호로 작용해, 공급자들이 소비 증가에 맞춰 가격을 유지하거나 소폭 인상하게 만들고 있다.
섬유 제조의 전통적 성수기 동안 폴리에스터 공장의 가동률이 90% 이상으로 오를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MEG 수요는 당분간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섬유 산업의 활발한 가동은 MEG 소비 확대를 지속적으로 견인하며, 이는 높은 가격 수준과 안정적인 시장 여건을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구매 측면에서는 중국산 소재가 주를 이룰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수입 가용성, 공급망 안정성, 잠재적 수입 관세와 규제 등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이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구매자들은 안정적이고 일관된 공급을 보장받기 위해 국내산 MEG에 의존할 가능성이 크다.
반면, 동남아 가격은 부진한 구매 활동과 PTA(Purified Terephthalic Acid) 가격 하락이 맞물리며 떨어졌다. 시장 상황이 불확실한 가운데 구매자들은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고, 그 결과 구매량이 줄었다. 또한 폴리에스터 생산의 핵심 원료인 PTA 가격 하락이 MEG 가격에 전반적인 하락 압력을 더했다. 지역 내 공급 과잉과 최종 수요 부문의 약세가 가격 하락을 더욱 심화시켜, 시장 심리를 한층 부정적으로 만들었고 지속적인 하락 조정으로 이어졌다.
한편, 원료 에틸렌(Ethylene)은 CFR NE Asia 톤당 845달러로 5달러 하락했고, 폴리에스터(Polyeester) 원료인 PTA는 CFR China가 610달러로 10달러 떨어졌다.
중국 Xinjiang Tianye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Xinjiang) 스허쯔(Shihezi) 소재 No.3 MEG 60만톤 플랜트를 9월19일 정기보수 들어갔다. Pengerang Refining & Petrochemical은 조호르주(Johor) 펭게랑(Pengerang) 소재 MEG 75만톤 플랜트를 9월22일 기술적문 제로 가동 중단하였다. Shenghong Refining & Chemical은 장쑤성(Jiangsu) Lianyungang 소재 MEG 90만톤 플랜트를 9월말 eh는 10월초 정기보수 들어갈 예정이다.
Yulong Petrochemical은 산둥성(Shandong) 롱커우(Longkou) 소재 MEG 100만톤 신규 플랜트를 9월초부터 가동을 시작하여 70% 수준까지 끌어올렸다. Lianyungang Petrochemical은 5월31일 정기보수 들어간 쉬웨이(Xuwei) 소재 MEG 91만톤 플랜트를 9월말 재가동할 계획이다. <박한솔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