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nvestment-Manager 제도 실시
산업자원부는 2001년7월부터 산업별 주무과장이 Investment-Manager가 되어 외국인투자 유치에 핵심적 역할을 하게 되는「산업별 Investment-Manager(IM)」제도를 실시하기로 했다. 기존의 프로젝트 관리체제와는 별도로 이미 진출한 외국인투자기업에 대해 산업정보 제공 등 지속적인 지원과 관심을 가짐으로써 국내 산업정책과 연계한 외국인투자 유치정책을 추진함과 아울러 한국투자 증액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총 외국인 투자액 중 증액투자 비중은 1999년 40.9%에서 2000년 59.8%로 상승했다. IM제도는 산자부 차관이 CIO(Chief Investment Officer)가 되어 Investment-Manager 체제를 총괄하고, 산업국의 업종 주무과장이 Investment-Manager가 되는 체계로 구성된다. IM의 주요 임무는 ①국내산업과 연계한 외국인투자기업의 관리 ②외국인투자기업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산업정보 제공 ③외국인투자기업과 국내 투자유치 희망기업과의 Match-making을 통한 신규 프로젝트 발굴 ④외국인투자기업의 수출입·고용등 국내산업 파급효과 분석 ⑤외국인투자기업에 대한 업종별 D/B 구축 등이다. IM이 관리할 대상기업은 기존 투자기업 중 산업별 규모를 고려해 선정된 200대 기업을 관리하고, 향후 신규투자기업과 전략적 유치 대상기업(타겟기업)도 관리 대상기업에 추가할 예정이다. 투자기업에 대한 관리는 IM가 직접 실시간(Real-time)으로 입력토록 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할 방침이다. 아울러 산자부 차관 주재로 격월에 한번씩 Investment-Manager 연석회의가 개최되며, 회의에서 산업별 신규 프로젝트 발굴 및 관리현황, 투자기업의 애로사항, 증액투자 전망 등 점검활동 내용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이 논의된다. 첫 번째 회의는 7월16일(월)에 산자부 차관 주재로 열린다. 산자부는 IM제도가 산업과 연계한 투자유치와 외국인투자기업의 기업경영환경 개선에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Chemical Daily News 2001/07/16>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정밀화학] 바스프, 지속가능한 화학산업 선도 | 2025-10-02 | ||
[금속화학/실리콘] 화학산업, 안티몬 공급불안 “긴장” | 2025-10-02 | ||
[화학경영] 태광산업, 석유화학 재편 속도낸다! | 2025-09-2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산업정책] 유럽 화학산업 ② , 전열화·CCS·탄소중립으로 지속가능 화학산업 구축한다! | 2025-10-02 | ||
[산업정책] 유럽 화학산업 ①, 에너지 위기에 공급과잉 생존전략 수립 서두른다!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