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기관, 과학논문 발표 수준미달
국내 대학 및 연구기관의 해외 과학기술논문 발표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부는 미국 ISI(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가 제공한 과학논문색인(Scientific Citation Index)을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공동으로 분석한 결과, 2001년 국내 대학 및 연구기관의 연구자가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은 서울대 2591편(세계 40위), KAIST 1179편(세계 158위) 등 모두 1만4162편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2001년 국내 대학은 1만2973편을 발표해 우리나라 전체 발표논문(1만4162편)의 76.4%를 차지했으며, 국공립연구소 및 출연연구소는 13.4%(2282편), 민간기업은 10.2%(1732편)를 각각 발표했다. 과학논문의 대학집중현상은 박사급 연구인력의 76.2%가 대학에 분포한 연구인력 구조와 밀접히 관련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대학별로는 서울대가 2591편을 발표해 18.3%를 차지했으며 KAIST 1179편(8.3%), 연세대 1151편(8.1%), 고려대 757편(5.3%), 포항공대 750편(5.3%) 등으로 조사됐다. 반면, 교수 1인당 논문수는 광주과학기술원이 5.23편으로 가장 높았으며 포항공대 3.81편, KAIST 3.73편, 서울대 2.66편으로 나타났다. 연구기관별로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514편, 한국화학연구원 229편을 발표했으며, 민간기업에서는 삼성종합기술원 153편, 삼성전자 150편, LG전자 63편으로 집계됐다. 각국의 주요대학 중에서는 미국 하버드대 9218편(1위), 일본 동경대 6439편(2위), 미국 스탠포드대 4567편(8위), 영국 캠브리지대 3810편(17위), 미국 MIT대 3155편(29위), 중국 청화대 1405편(133위) 등이었으며, 교수 1인당 논문수는 하버드대가 4.5편으로 서울대에 비해 논문수와 교수 1인당 논문수에서 모두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연구기관 중에서는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9253편, 중국 과학아카데미 5276편, 미국 NASA 1978편, 미국 NIH 1461편, 일본 이화학연구소 1208편으로 나타났고, 민간기업에서는 미국 IBM이 716편을 발표했다. <표>과학기술 논문 발표순위 <표>대학교수 1인당 논문수 <표>정부 출연기관 논문 발표 현황 <Chemical Daily News 2002/04/0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기술/특허] 롯데케미칼, 스페셜티로 유럽 공략 | 2025-10-02 | ||
[정밀화학] 바스프, 지속가능한 화학산업 선도 | 2025-10-02 | ||
[합성섬유] SK케미칼, 자원순환 패러다임 공유 | 2025-10-0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백송칼럼] 메스를 들이댈 시점이다! | 2025-10-02 | ||
[산업정책] 유럽 화학산업 ② , 전열화·CCS·탄소중립으로 지속가능 화학산업 구축한다!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