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제 송아지 "X염색체 이상 징후"
출생 후 곧바로 사망하는 복제소는 성염색체인 X염색체가 기능하지 않는 이상이 발견됐다고 일본 언론들이 5월27일 보도했다. 일본 가고시마(鹿兒島)현의 육용우(肉用牛) 개량연구소와 미국 코네티컷대학 연구팀은 최근 연구를 통해 2개의 X염색체를 갖고 있는 암소에서는 통상 1개의 염색체에 있는 유전자가 기능하지 않는 반면, 복제소에는 2개에서 모두 유전자가 활동하지 못하고 있음을 발견해 냈다. 복제소의 죽음과 유전자와의 상관관계가 밝혀지기는 처음이다. 포유류 암컷에는 부모로부터 각각 X염색체를 받아 2개의 X염색체를 가지게 되나, 초기에 1개는 유전자 정보전달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연구팀은 이런 사실에 착안, 1999년 홀스타인 체세포를 이용해 태어난 복제소 10마리를 대상으로 염색체 상의 유전자에 대한 검사를 실시했다. 복제소 10마리 가운데 1마리는 유산했고, 5마리는 출생 후 24시간만에 사망했으며 나머지 4마리는 살아남았다. 생존한 4마리는 X 염색체 한쪽의 유전자가 움직이는 정상상태를 보였으나, 사망하거나 유산한 6마리 중 3마리에는 양쪽의 X염색채가 모두 움직이지 않은 사실이 발견됐다. 연구결과는 과학전문지인 미국의 [Nature Genetics] 6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Chemical Daily News 2002/05/2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제약] 노바티스, 복제약은 산도스로 분사 | 2022-08-29 | ||
[제약] 화이자, 복제약 매출 24조원으로… | 2019-07-30 | ||
[제약] 셀트리온, 램시마로 복제약 시장 선도 | 2017-02-27 | ||
[제약] 셀트리온, 항암제 복제약 성공할까? | 2017-02-24 | ||
[제약] 복제약, 출시지연 담합 못한다! | 2017-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