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제품 제조기술 혁신율 53.8%
국내 전체 제조업 가운데 47.3%가 기술혁신을 수행하고 있으며 기술혁신을 수행한 10개 제조기업 가운데 9개 기업이 기술혁신에 성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 최영락)이 발표한 <2002년 한국의 제조업 기술혁신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기술혁신을 시도한 국내 제조업 가운데 90.4%가 기술혁신에 성공한 것으로 밝혀졌다. STEPI는 제조업 기술혁신 분석을 위해 10명 이상 제조기업 총 3만2551개 목록 가운데 무작위로 추출해 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대상 기업의 60.6%인 3775개 기업으로부터 응답을 받았다. 총 응답기업 3775개 가운데 2000-2001년까지 기술혁신을 시도한 기업은 47.3%인 1787개로 나타났다. 응답기업 가운데 기술혁신에 성공한 기업은 42.8%인 1616개였으며 기술혁신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거나 미완료 상태인 기업은 4.5%인 172개로 기술혁신 성공률이 90.45%로 집계됐다. 기술혁신의 분야별로는 제품개선 혁신율이 32.1%(1211개)로 가장 많았고 이어 신제품 혁신율 26.6%(1006개), 공정 혁신율 25.8%(974개)로 뒤를 이었다. 대기업의 기술 혁신율이 77.5%로 중소기업(41.2%)을 훨씬 능가했다. 또 컴퓨터가 주종을 이루는 사용기기가 66.7%, 의료정밀 분야 57.6%, 석유정제품 및 핵연료 57.1%, 기타 전기기계 55.5%, 화합물 및 화학제품 53.8% 등 순으로 IT와 중화학분야에서 기술혁신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음을 나타냈다. STEPI의 제조업 기술혁신 조사분석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와 EU(유럽연합)에서 채택하고 있는 기준을 사용한 것으로 국가간 비교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키 위한 것이다. <Chemical Daily News 2003/01/2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플래스틱] 플래스틱 국제협약 ②, 플래스틱에 화학제품 포함 생산규제에 리사이클 “공방” | 2025-09-26 | ||
[화학무역] 일본, 화학제품 수출 확대 성공했다! | 2025-07-11 | ||
[에너지정책] 중국의 화학산업 혁신 ①, 그린 화학제품 생산 본격화 세계 최초 바이오제조 “성공” | 2025-05-02 | ||
[식품소재] 화학제품, 할랄 시장 “급부상” | 2025-04-04 | ||
[화학경영] 일본계 화학기업 ②, 첨단소재는 일본에서 공급…화학제품 유통 네트워크 강화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