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는 미국-이라크 전쟁 이전 Dubai유 기준 배럴당 30달러 안팎에서 4월초에는 23달러 수준으로 급락한 상태이며, WTI(서부텍사스 중질유)는 36-37달러에서 27-28달러로, 영국 Brent유는 33-34달러에서 24-25달러로 25-30% 정도 하락했다. 전쟁 프리미엄이 빠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석유화학제품의 기초원료인 나프타 가격은 미국-이라크 전쟁이 발발하기 직전인 3월초 C&F Japan 톤당 378달러까지 폭등했으나 4월에 접어들면서 240달러 선으로 하락했고, FOB Singapore 가격도 톤당 370달러를 넘어섰으나 4월초에는 215달러까지 떨어져 40% 안팎으로 폭락했다. 아시아 석유화학제품 가격도 4월 9-11일 프로필렌이 FOB Korea 톤당 470달러로 80달러 폭락해 단숨에 500달러가 붕괴됐고, MEG는 CFR Korea 570달러로 무려 135달러 폭락하는 등 급격히 하락하고 있다. 또 벤젠은 FOB Korea 톤당 335달러로 60달러, Styrene은 550달러로 60달러, GPPS는 CFR FE Asia 톤당 705달러로 70달러 폭락했다. 합성수지 가격도 LDPE가 CFR FE Asia 톤당 665달러로 50달러, LLDPE는 570달러로 45달러, HDPE는 560달러로 45달러, PP는 670달러로 70달러, PVC는 585달러로 50달러 폭락했다. 이밖에 에틸렌 가격은 4월11일 FOB Korea 톤당 375달러로 15달러 하락에 그쳤으나 4월4일 80달러 폭락한 바 있고, ABS도 4월9일 CFR FE Asia 톤당 935달러로 20달러 하락에 그쳤으나 3월14일부터 3주에 걸쳐 이미 135달러 폭락했다. 이에 따라 4월초 석유화학제품 가격은 2003년 들어 최고치를 기록했던 3월 5-7일에 비해 에틸렌은 톤당 270달러, 프로필렌은 220달러, MEG는 205달러, 벤젠은 165달러, SM은 285달러 폭락했다. 합성수지도 LDPE 105달러, LLDPE 120달러, HDPE 130달러, PP 150달러, PVC 110달러, PS 240달러, ABS 175달러 하락했다. 폴리머 가격 하락세가 모노머에 비해서는 작아 다행스럽기는 하나, 합성수지 가격도 에틸렌, 프로필렌, 벤젠, SM 등 모노머 원료가격이 반영되는 5월초까지 100달러 내외의 추가 하락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 채산성 악화를 피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아시아 석유화학제품 가격의 폭락사태는 미국-이라크 전쟁의 조기 종결로 국제유가 및 나프타 가격의 하향안정에 대한 기대가 크고, 여기에 중국, 홍콩을 비롯한 동남아지역에 괴질 사스(SARS)가 퍼지면서 사스공포로 석유화학제품 수요가 급속히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기업들은 수요감소와 더불어 추가적인 가격하락을 예견하고 구매를 줄이거나 거부하는 사태로 발전하고 있다. 문제는 국제유가 및 아시아 나프타 가격이 어느 선에서 안정되고, 동남아를 휩쓸고 있는 사스공포가 어떻게 진정될 것인가 하는 것인데, 현재는 국제유가 추이를 점치기 어렵고 나프타 가격 또한 어떻게 변할지 짐작조차 어려운 상태이다. 더 큰 문제는 국내 석유화학기업들이 심각한 공급과잉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품질차별화 및 마케팅력 향상이 끊임없이 거론돼 왔지만 시장이 요동을 칠 때면 언제 그랬느냐는 식으로 반복 지적되고 있다. 일부에서 고품질 제품을 생산해 차별화하는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아직 결실을 맺기에는 역부족이고, 마케팅력은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정도로 구태의연하기 짝이 없다. 현재의 석유화학 공황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좀더 철저한 적자생존의 세계를 경험해야 하지 않을까 우려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화학저널 2003/4/2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석유화학, 6월에도 전망 어둡다! | 2025-05-27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회사채 흥행 “기대” | 2025-05-27 | ||
[석유화학] 석유화학, 2027년까지 불황 장기화 | 2025-05-1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화학경영] 크래서스, 석유화학 차별화로 성장 | 2025-05-23 | ||
[산업정책] 중국, 석유화학 과잉투자 계속한다! | 2025-05-23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