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화학공업 겸업비율 25.3%
|
R&D는 위탁연구가 주류 … 매출은 재생자원?석유?비철금속 호조 일본 제조업 및 광공업의 2000년 매출이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일본 경제산업성의 2001년 기업활동 기본조사에 따르면, 제조업 및 광공업은 대부분 산업에서 매출이 증가했으나 일반 기계기구 도매업은 전년대비 41.2%, 정밀기계기구는 5.0% 감소했다. 반면, 재생자원 도매업은 38.3%, 석유제품?석탄제품 제조업은 21.2%, 비철금속 제조업은 13.6% 증가해 호조를 보였다. 1개 기업 평균 매출은 제조업 및 광공업이 전년동기대비 5.1% 증가한 220억엔, 전기?가스업 1894억엔, 크레디트카드?할부금융업 318억엔, 서비스업 103억엔이다. 매출 기준 전업비율은 제조업이 전년동기대비 1.5%p 증가해 2년 연속 증가를 나타냈는데 본업 이외의 사업전개는 본업 관련 도매분야가 많았다. 1999년 조사에 따르면, 화학공업은 겸업비율 30%로 제조업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나 2년간 5%p나 감소해 25.3%로 낮아졌다. 2000년 제조업 전업비율은 84.5%로 조사 이래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특기분야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 제조업 및 광공업의 기업 당 연구개발비는 전년동기대비 8.6% 증가했으나 매출액 중 연구개발비 비율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조업은 기업 평균 14억5000만엔으로 8.1% 증가했다. 전 조사대상 중 약 30%인 7792사의 연구개발비는 9조9000억엔이었고 매출 중 연구개발비 비율은 3.99%를 나타냈다. 90%는 제조업으로 전기기계기구, 수송용 기계기구 제조업, 화학공업, 일반기계기구 제조업이 86%를 차지했다. 화학공업에서는 자사 연구개발비보다 위탁연구개발비가 크게 증가했다. 1991년부터 2000년까지 8번의 조사에 전부 응한 기업의 생산성과 구조조정 등을 조사한 결과, 종업원을 해고시켰던 회사 중에는 자회사?관련기업을 보유한 경우가 많았고 자회사화하면서 인원배치를 전환해 생산성이 향상된 기업은 파견종업원을 많이 받아들이는 경향을 보였다. 화학공업은 제조업 중에서 가장 높은 컴퓨터 보급률을 자랑하는데 컴퓨터 1대 당 종업원 수는 1.3인으로 나타났다. 표, 그래프: | 일본의 기업활동 기본조사?연구개발 동향 | <Chemical Journal 2003/04/28>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반도체소재] 삼성전기, 일본과 유리기판 합작투자 추진 | 2025-11-05 | ||
| [바이오화학] 일본, 바이오제조 상용화에 2조원 지원 | 2025-11-03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배터리] 전해질, 탈중국 움직임 본격화… 일본, 중국 공백을 노린다! | 2025-11-07 | ||
| [제약] 핵산 의약품, 2030년 18조원으로 성장 일본 화학기업 참여 본격화 | 2025-10-31 | ||
| [금속화학/실리콘] 실리콘 ②, 고부가화가 경쟁력 원천 일본, 기술개발 선도한다! | 2025-1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