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PS 국내수요 호조 전환될까?
|
2002년 총 출하량 104만7300톤으로 3% 증가 … 수익회복이 급선무 일본의 2002년 PS(Polystyrene) 국내수요가 3년만에 플러스성장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다만, 수급밸런스가 개선되고 일정한 가격인상이 실현됐으나, 2002년 말 이후의 원료가격 급등에 따라 수익회복이 긴급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2002년 PS 국내수요는 플러스성장으로 전환됐으나 2001년 심각하게 악화돼 크게 호조를 보이지는 못했다. 또 앞으로 국내수요가 90만톤 전후에서 안정될 것인가에 대해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재고는 2002년 4월부터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원료 SM(Styrene Monomer) 공급부족으로 수급균형을 맞춰 생산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최대의 과제는 수익회복으로, 2002년에는 가격인상이 실현됐으나 충분하지는 못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고 최근 들어서는 나프타, 벤젠 등 원료가격이 급등하고 있어 경영목표 설정을 어렵게 하고 있다. 일본 Polystyrene공업협회에 따르면, 2002년 PS 출하는 전년대비 2% 증가하고 수출도 9% 증가해 총 출하가 104만7309톤으로 3% 증가함으로써 3년만에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됐다. SM도 PS 생산 호조에 힘입어 국내수요가 2% 증가하고, 1% 신장한 결과 총 출하가 311만7511톤으로 1% 증가했다. PS는 포장용이 2축연신PS(OPS), 유산음료의 호조를 바탕으로 전년대비 2% 증가했고, 잡화용이 7%, FS용이 4% 증가했다. 전기공업용은 4% 감소했으나 하반기에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돼 최악을 벗어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표, 그래프: | 일본의 PS 수급현황(2002) | 일본의 SM 수급현황(2002) | <Chemical Journal 2002/05/07>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반도체소재] 삼성전기, 일본과 유리기판 합작투자 추진 | 2025-11-05 | ||
| [바이오화학] 일본, 바이오제조 상용화에 2조원 지원 | 2025-11-03 | ||
| [EP/컴파운딩] 도레이첨단소재, 군산 PPS 2호기 증설 | 2025-10-31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배터리] 전해질, 탈중국 움직임 본격화… 일본, 중국 공백을 노린다! | 2025-11-07 | ||
| [제약] 핵산 의약품, 2030년 18조원으로 성장 일본 화학기업 참여 본격화 | 2025-1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