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Flexble Container 시장침체
|
2001년 150억엔으로 1991년 절반수준 … 저가제품 수입으로 단가하락 2001년 일본의 Flexble Container 시장은 경기침체, 산업공동화, 수입증가에 따른 단가하락으로 수요량 및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매출은 국내판매액이 2000년에 비해 4% 감소한 57억7015만6000엔, 자가소비용이 11% 감소한 92억3595만9000엔으로 총 150억엔에 머물러 1991년의 약 260억엔을 정점으로 큰 폭의 하락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일본 Flexble Container 공업회에 따르면, 일본 생산제품을 전량 사용하는 국내판매용은 수지제가 2000년 수준인 약 27만9554봉, 고무제가 14% 감소한 3만1768봉으로 전체적으로 2% 감소한 31만1318봉으로 나타났다. 화학공업제품, 합성수지용 등 수지제는 수요가 꾸준한 것으로 예상했으나 1999년 크게 감소한 뒤 회복기조를 보이지 않고 있다. 고무제도 취급ㆍ폐기가 어렵고 가격이 높아 1997년 약 4만봉을 최고치로 크게 감소하고 있다. 반면, 자가소비용은 1999년부터 수입량을 포함시켰지만 1999년에 비해 13% 감소한 395만2846봉으로 400만봉을 넘기지 못했다. 일본공업회 품질보증라벨을 취득한 일본기업의 해외 생산제품 수입이 감소한 것이 주원인이다. 일본에서는 통계에 잡히지는 않았지만 상사 등이 시작한 저가제품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어 Flexble Container의 단가하락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표, 그래프: | 일본의 Flexble Container 생산실적(2001) | <Chemical Kournal 2003/05/16>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반도체소재] 삼성전기, 일본과 유리기판 합작투자 추진 | 2025-11-05 | ||
| [바이오화학] 일본, 바이오제조 상용화에 2조원 지원 | 2025-11-03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배터리] 전해질, 탈중국 움직임 본격화… 일본, 중국 공백을 노린다! | 2025-11-07 | ||
| [제약] 핵산 의약품, 2030년 18조원으로 성장 일본 화학기업 참여 본격화 | 2025-10-31 | ||
| [금속화학/실리콘] 실리콘 ②, 고부가화가 경쟁력 원천 일본, 기술개발 선도한다! | 2025-1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