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공장 재난관리 시스템 “시급”
여수 시민-환경단체 강력 주장 … 정부와 화학기업의 책임 촉구 10월3일 발생한 호남석유화학 폭발사고를 계기로 각 산업단지의 재난관리 시스템 구축 및 보유 시스템에 대한 점검이 절실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여수시 시민단체와 여수환경운동연합 등에 따르면, 여수산업단지는 화학공단의 특성상 주로 유독가스 및 위험물을 취급하는 고 위험군 기업으로 구성돼 있으며, 인근 마을 주민과 1만여명이 넘는 현장 근로자들이 상시위험에 노출돼 있다. 이에 따라 1970년대부터 2002년까지 총 196건의 각종 사고가 발생해 91명이 숨지고 158명이 다쳤다. 2003년에도 KCC, 남해화학, LG-Caltex정유, LG화학 등 여수산단에서 사망사고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사고 때마다 지적되는 형식적인 안전진단과 사업주 및 근로자의 안전불감증, 땜질식 보수 및 복구 등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제2, 제3의 사고를 낳고 있다. 여수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 산업단지도 마찬가지여서 산업단지 내 각종 사고와 관련한 국가 차원의 총체적 재난관리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공업단지의 대형 사고에 대비한 주민 이주대책, 주민 대피훈련, 공장-마을 간 비상 연락망 체계 구축 등 국가와 자치단체, 산업체 등이 공동 참여하는 중ㆍ장기적 주민피해 최소화 방안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0월3일 호남석유화학 폭발사고 당시 여수시는 사고 발생 1시간이 지난 뒤에야 주민 대피령을 발령해 주민들의 원성을 샀다. 이에 따라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한 안전 사고감시 시스템 구축도 사고 재발을 위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화학기업들의 미온적 대처로 무산되기는 했지만 여수환경운동연합 등 시민단체들이 주장한 <여수산단 환경안전 문제 해결을 위한 민ㆍ관ㆍ학 협의체>가 좋은 사례이다.
또 “정부와 입주기업들은 여수산단 전체 공단에 대한 환경안전 정밀진단과 특단의 대책을 수립해야 하며 특히 정부는 여수산단을 재난위험시설지역으로 지정하고 재난관리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Chemical Journal 2003/10/07>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안전/사고] 화학공장, 이틀 새 안전사고 계속 | 2025-06-10 | ||
[안전/사고] 중국, 산둥성에서 화학공장 폭발 | 2025-05-28 | ||
[디지털화] AI, 화학공장 유지보수 최적화한다! | 2025-05-09 | ||
[디지털화] 화학공장, AI로 보수 자율화한다! | 2025-04-18 | ||
[안전/사고] 울산단지, 석유화학공장 안전 강화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