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료, 중국ㆍ인디아 시장 주목!
|
중국, 2005년 생산량 250만톤 … 인디아는 건축용 에멀젼 기대 중국과 인디아의 도료시장이 주목받고 있다.중국의 2001년 도료 생산량은 181만6000톤으로 2002년에는 200만톤을 넘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2001년 건축용 도료 생산량은 전년대비 10% 증가해 60만-70만톤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廣東省 廣州가 최대 집적지역이고 직할도시인 上海, 江蘇省이 뒤를 잇고 있다. 중국의 건설관련 행정당국은 2005년 건축용 도료 수요가 250만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해 주목되고 있다. 인디아 도료 시장도 급성장하고 있는데, 인디아의 도료 시장 성장률은 다른 아시아 국가와 비슷한 10% 전후를 유지하고 있다. 인디아는 대형 도료기업 6사가 전체 시장의 65%를 차지하고 중소 및 지역 도료 생산기업 약 2500사가 나머지 35%를 분할하고 있다. 건축용 도료는 외국과 비슷하지만 Emulsion계는 큰 폭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건축용 도료의 시장비중은 에나멜도료계가 약 40%, 에멀젼도료가 13%, 내장마무리도료가 25%, 목공관련제품이 6%, 장식도료가 16%로 나타나고 있다. 공업용도료는 자동차용 도료가 50%, 보호코팅도료가 14%, 분체(粉體)도료가 13%, 공업용 라인도료가 5%, 선박도료가 4%, 기타 14%이다. 자동차용 도료는 DuPont, Kansai Paint, 하버트, Japan Paint 등이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한국도 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 규제로 관심을 끌고 있는데, 일본도 곧 VOCs 규제를 시행할 예정이다. 한국은 도료산업을 중심으로 VOCs를 규제하고 있는데 도료 제조공정에서는 도료 프로세스가 발생량 감축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국의 VOC 규제는 1995년 기본적인 조항을 검토해 1996년 대기에 관한 환경보호조항과 기본법을 개정했고 1998년 다시 VOCs 규제에 따른 신고제품, 재료계열의 점검을 실시했고 관련법 조항을 개정했다. 2000년에는 신고가 필요한 도료제품ㆍ재료 계열 조항을 개정하고 톨루엔과 자일렌 신고를 추가해 규제 대상물질이 37가지로 확대됐다. 2001년 1월에는 규제 재료계열을 명확히 해 공장 라인에서부터 VOCs 방출량이 정해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VOCs 방출을 도료 제조시의 4.6%, 도료 프로세스 41.6%의 비율로 보고 있어 도장공정의 VOCs 컨트롤이 중요시되고 있다. <Chemical Journal 2003/12/03>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페인트/잉크] 바스프, 벤츠에 자동차 도료 공급 | 2025-07-07 | ||
| [석유화학] M-X, 도료‧접착제 수요 증가에… | 2025-05-29 | ||
| [페인트/잉크] 노루페인트, 스텔스 도료 개발 | 2023-10-20 | ||
| [페인트/잉크] 노루페인트, 차열도료 적용 확대 | 2019-06-28 | ||
| [페인트/잉크] 삼성중공업, 무용제 선박도료 개발 | 2018-11-2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