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ㆍ유럽 “농화학 살리기” 발진
|
경기침체 불구하고 수익증가 … 미국 3-4% 성장에 유럽 기술개발 주력 2002년 이후 범용 화학제품 가격상승 및 농경지 면적 확대로 농화학 매출이 급증하기 시작하고 있다.2003년 상반기 옥수수 평균 가격은 전년동기대비 17% 상승했으며, 밀 및 대두 가격은 각각 15%, 27% 상승했기 때문이다. 또 정부정책에 따라 농민들이 수익에 대해 자신감을 회복하게 됐다. 미국에서는 농민들이 <2002 Farm Act> 아래 추가수입(Extra Income)을 지원받고 있으며, EU(European Union) 회원국들은 <Comon Agricultural Policy> 개정에 따라 생산 지원금이 줄고 있지만 농민들이 안정된 수입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농민들이 농작물 보호 제품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으며, 2003년 세계 농화학 시장은 미국달러 기준으로 약 3-4% 성장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북유럽의 건조한 날씨로 곡류(Cereal) 가격이 상승하고 농화학제품 가격 및 마진 또한 EU의 농작물 보호 제품 안전성 관련 법률이 입법화됨에 따라 상승세를 탈 전망이다. 반면, 안전성 평가에 따른 농화학 기업들의 코스트 부담을 고려해 볼 때 2003년 말까지 EU 시장의 농화학 제품 수는 350개로 약 60%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새로운 규정이 오히려 대체 화학물질 개발에 따른 신제품 출시 가능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포트폴리오 합리화로 농화학 기업들이 고부가가치 기술 개발에 주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전망이다. 농화학 리드 기업들이 높은 마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기술혁신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Cropnosis도 농화학 기업들이 꾸준한 제품 혁신을 통해서만이 1-2%대의 낮은 매출 신장률을 피할 수 있으며 판매 경쟁 및 가격압박에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Bayer CropScience 및 Syngenta 다음으로 세계 농화학 3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BASF의 2003년 상반기 매출액은 유로화 강세에 따라 19억유로(21억달러)로 8% 감소했다. 그러나 달러 기준으로는 매출액이 14% 증가했는데, 최근 Bayer CropScience로부터 새로운 Pyrazole 살충제인 피브로닐(Fipronil) 사업을 인수하고 F500 Strobolurin 살충제 등 신제품을 출시했기 때문이다. 앞으로 다른 신제품이 출시되기 전까지 Fibronil 및 F500이 BASF의 매출신장을 주도할 전망이다. BASF는 식품 및 사료 시장에서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는 영양제 사업과 함께 농화학 분야에서도 기술혁신, 생산 및 마케팅에 주력할 방침이다. 또한 동물사료 효소인 Phytase 매출액이 연평균 25% 신장하고 있어 곧 Phytase 시장에서도 입지를 강화할 수 있을 전망이다. BASF는 DSM이 생산ㆍ개발한 Phytase를 판매하고 있으나, DSM이 최근 Roche의 비타민 및 정밀화학 사업을 인수함에 따라 독점방지를 위해 DSM과의 동맹이 결렬될 것으로 보인다. Roche가 Novozymes과 Phytase 판매 및 생산 부문에서 협력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다. DSM은 EC(European Commission)와 Phytase 생산설비 및 기술을 BASF에 매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BASF는 현재 EC 및 Federal Trade Commission의 감시 아래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Phytase 사업을 지속할 계획이다. <Chemical Journal 2003/12/16>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정제] 정유, 미국ㆍ유럽 시장 “위기일발” | 2012-08-10 | ||
| [석유정제] 미국ㆍ유럽 정제마진 악화 “울상” | 2010-03-10 | ||
| [산업정책] 석유화학, 미국ㆍ유럽 “예측불허” | 2009-01-16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첨가제] MTBE ②, 미국ㆍ유럽 수요 감소 중국이 성장동력으로… | 2012-11-02 | ||
| [아로마틱] 벤젠, 미국ㆍ유럽 타이트로 공급과잉 완화 | 2011-03-1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