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CAA 생산 활성화 뚜렷
생산능력 12만톤에 생산 8만톤 … CMC 원료 사용비중 확대 중국은 1980년대 이후의 석유화학산업 성장에 힘입어 유전용 화학제품 원료로 CMC 소비가 급증함에 따라 CAA 생산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더욱이 1990년대 초 제초제 시장이 급성장함에 따라 CAA 시장은 더욱 가파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중국은 1990년대 초 CAA 플랜트가 여럿 건설됨에 따라 약 100개의 생산설비를 구축하고 있으며 생산능력은 12만톤 이상, 생산량은 약 8만톤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생산규모가 작아 최대 규모의 플랜트 생산능력이 1만톤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며 소규모 플랜트들의 생산능력도 겨우 몇백 톤에 불과하다. 중국의 주요 CAA 생산기업에는 Chongqing Jialing chemical Plant, Kaifeng Dongda Group, Xuzhou Electrochemical Plant, Henan Puyang Chlor-Alkali Plant, United Chemical Plant, United Chemical Plant of Jilin Chemical Industrial, Shandong Zibo Dongfeng Chemical Plant, Jiangsu Suzhou Chemical & Pesticide Group, Baoshan Luoyan Chemical Plant, Liaoyang Baita Chemical Plant, Shijianzhuang Synthetic Chemical Plant, Hebei Anhua No. 4 Chemical Plant, Taixing Synthetic Chemical Plant, Nanning Chemical Industrial Group, Guangdong Foshan Electrochemical Plant 및 Shanghai Huacao Chemical Plant가 있다. 중국의 CAA 생산기업들은 과거에 주로 AA(Acetic Acid)/Sulfur Catalytic Chlorination 프로세스를 사용했다. 반면, 외국기업들은 대부분 선진기술인 Acetic Anhydride Catalytic Chlorination 프로세스를 사용하고 있어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생산할 뿐만 아니라 대규모의 연속생산(Continuous Production)이 가능하다. Liaoning Fuxin Chemical Plant는 1999년 슬로바키아의 연속 Acetic Anhydride 프로세스를 도입해 CAA 1만톤 플랜트를 건설하고, 2002년에는 네덜란드 Akzo Nobel이 Taixing 경제기술개발구역 안에 Acetic Anhydride Catalytic 프로세스를 이용한 2만5000톤 플랜트를 건설함으로써 중국의 CAA 생산수준을 한단계 업그레이드 시켰다. 이외에도 Wuxi Chemical Industrial Group은 Taiyuan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가 개발한 Acetic Acid Catalytic 기술을 이용해 CAA 1만톤 플랜트를 건설했으며 생산착수 이후 플랜트의 모든 기술지수는 선진국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모든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중국의 CAA 시장이 크게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화학저널 2004/09/21>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헬스케어] 헬스케어, 중국 불확실성 커진다! | 2025-10-14 | ||
[국제유가] 국제유가, 미국-중국 무역갈등 완화 “상승” | 2025-10-14 | ||
[배터리] 음극재, 중국산 의존도 98% 달한다! | 2025-10-14 | ||
[국제유가] 국제유가, 미국-중국 갈등 “폭락” | 2025-10-1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정밀화학] 가성소다,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위기감 인디아·동남아 수요를 잡아라!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