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미량 분석방법 KS규격화 … FAOㆍWHO 섭취허용량 수준으로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이 산분해 방법으로 제조한 간장에 함유 가능성이 높은 유해물질 MCPD(클로로프로판디올/3-Chloro-1,2-propanediol)의 미량 분석방법을 연구ㆍ개발해 조만간 KS규격을 제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MCPD는 클로로프로판올류의 일종인 화학물질로 기름을 뺀 콩을 염산으로 가수분해해 간장을 만드는 과정에서 식물성 단백질이 산분해되면서 생성되는 유해물질이다.
MCPD는 내분비계 장애의심 물질로 정자수 감소, 정자의 기능 감퇴 등을 일으키고 암 유발 의심물질로 유전독성 및 발암성 등을 유발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이에 따라 2001년 6월에 개최된 FAO/WHO 합동 식품첨가물 전문위원회에서는 MCPD의 잠정 일일 최대 섭취허용량을 20ppb로 설정했으며, EU는 MCPD 함량을 20ppb로 규제치를 강화해 2002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잠정허용치로 300ppb를 설정하고 있다. 기술표준원은 MCPD가 간장 뿐만 아니라 밀가루, 전분, 시리얼 등 관련식품에서도 검출 사례가 보고 되고 있는 점을 감안해 KS규격을 식품기업 및 관련학계에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간장은 1985년 8월과 1996년 2월 잇따라 소비자단체가 간장 제조과정 중 염산 사용과 관련해 문제를 제기한 간장 파동 이후 혼합간장(산분해간장 포함)의 비율을 점차 줄여나가고 있으나 현재까지도 80% 정도가 혼합간장으로 파악되고 있다. KS규격은 10월22일 산업표준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결정된다. <조인경 기자> <화학저널 2004/10/2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퍼스널케어] 화장품, 6%에서 유해물질 검출 | 2024-12-03 | ||
[환경] SK이노베이션, 유해물질 직접 시험 | 2024-03-27 | ||
[환경] EU, 유해물질 배출규제 강화한다! | 2023-06-23 | ||
[환경] 화학공장, 유해물질 특별 안전점검 | 2022-11-1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 유럽의 화학제품 규제 ①, 소비자 관점 유통 규제 유해물질 퇴출 강화한다! | 2022-12-09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