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철금속, 동북아 3국 수요확대 주목
|
한-중-일, 세계 생산량 23% 차지 … 자원 보유국으로 생산기지 이동 한국-중국-일본 3국의 비철금속 생산 및 소비가 매우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면서도 전반적으로는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이 동북아 비철금속산업의 성장세를 견인하고 있어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세계 비철금속 생산은 1982년 3470만1000톤에서 1992년 4301만6000톤으로, 그리고 2002년에는 5755만 7000톤으로 늘어나 20년 동안 연평균 2.6%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알루미늄 생산 증가율이 3.2%로 가장 높고, 동 2.5%, 아연 2.4%, 연이 1.1%를 기록했으며, 전체적으로는 1980년대에 2.2%, 1990년대에 3.0%의 증가율을 보여 중국, 한국 등 동북아 지역의 생산이 크게 늘어난 1990년대가 1980년대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세계 비철금속산업은 경쟁력 강화를 위해 M&A를 통한 생산집중도 강화와 시장점유율 확대 노력을 기울이는 동시에 생산기지를 자원 보유국으로 옮겨 가고 있으며, 기술개발을 통해 생산비용을 절감하는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동은 칠레, 인도네시아, 오스트레일리아, 페루 등 동 자원이 풍부한 지역에서, 알루미늄은 아프리카, 남미, 중국, 남아시아 등 보크사이트가 풍부한 지역에서의 생산이 늘어나고 있다. 한국-중국-일본의 비철금속 생산량은 1982년 357만6000톤에서 1992년 563만톤으로, 2002년 1299만 1000톤으로 연평균 6.7%의 성장률을 보이며 세계 평균성장률보다 약 2.5배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1982년과 1992년 2002년 사이의 비중변화를 보면 아연은 15.7%→24.4%→35.2%, 연은 7.2%→14.5%→27.4%로 생산이 크게 늘어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동은 15.8%→18.2%→22.6%, 알루미늄은 5.5%→5.7%→16.7%로 비중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과거 20년 동안 한국-중국-일본의 비철금속 생산이 크게 늘어나면서 각국의 생산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중국의 생산비중이 1982년 26%에서 1992년에는 50%로, 2002년에는 72%로 크게 높아진 반면, 일본의 생산비중은 1982년 67%에서 1992년 40%로, 2002년에는 18%로 크게 위축됐다. 중국은 1990년대에 들어 경제성장이 연평균 9.9%의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비철금속의 생산도 급속히 늘어나 연평균 12.6%의 성장률을 보였다. 특히, 1990년대 초 중국 정부가 비철금속에 대한 가격통제를 폐지한 것이 계기가 돼 가격이 급등했으며, 가격상승이 생산 급증의 원동력이 됐다. 알루미늄이 14.8%로 가장 높고, 연이 13.4%, 아연이 11.3%, 동이 9.1%의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2002년 중국은 아연 210만6000톤,(세계 생산비중 22.1%), 연 128만8000톤(19.7%) 및 알루미늄 435만8000톤(6.7%)으로 각각 세계 최대 생산국이었으며, 동은 158만톤(10.3%)으로 칠레에 이어 세계 2위의 생산국이었다. 반면, 일본은 동을 제외한 알루미늄, 아연, 연의 절대 생산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10년 전 세계 최대생산국이었던 아연은 세계 3위국으로 하락하였고, 동도 3위에서 4위로 밀려났다. 한국은 10년 동안 비철금속 설비 신증설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생산증가율은 9.2%를 나타내 소비증가율 8.3%를 웃돌고 있다. 2002년 한국은 아연을 60만톤 생산해 세계 4위, 동과 연은 각각 50만톤과 23만톤을 생산해 나란히 세계 9위의 생산국이 됐다. 표, 그래프: | 한국-중국-일본의 비철금속 생산 및 소비 | <화학저널 2004/12/03>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가성소다, 동북아는 뛰고 동남아는 멈췄다! | 2025-11-21 | ||
| [석유화학] 프로필렌, 중국 주도에 동북아 반등 신호? | 2025-11-19 | ||
| [석유화학] 프로필렌, 동북아 약세 속 시장 온도차 뚜렷! | 2025-10-28 | ||
| [석유화학] HDPE, 동북아 약세 속 보합세… | 2025-09-15 | ||
| [석유화학] 석유화학, 동북아 NCC 감축 “숨통” | 2025-09-0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