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산업 장기호황 “막 내리나?”
한국은행, 12월 BSI 73으로 정체 … 고무ㆍ플래스틱은 크게 하락 제조업 체감경기가 좀처럼 호전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원화환율 급락으로 수출기업 채산성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한국은행이 2456개 국내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11월 기업경기조사 결과>에 따르면, 12월의 제조업 채산성 실사지수(BSI)는 74로 11월보다 2p 하락했다. 특히, 수출기업의 채산성 BSI는 10월 76에서 11월 69로 급락함으로써 1999년 1.4분기 68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채산성 BSI가 100을 밑돌면 채산성이 악화됐다고 느끼는 기업의 수가 그렇지 않다고 느끼는 기업보다 많음을 뜻한다. 원화환율 급락의 영향으로 수출증가율 전망 BSI도 11월 105에서 12월 96으로 급락해 2004년 들어 처음으로 수출증가율 전망지수가 100 밑으로 떨어졌다. 경영 애로사항으로는 내수부진이 29.7%로 11월에 이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원자재가격 상승이 20.7%, 불확실한 경제상황이 14.9%를 차지했다. 10월 경영 애로사항 설문조사 때 응답비율이 1.4%에 불과했던 환율문제는 12월 조사에서 8.5%로 급상승해 최근의 환율급락이 기업들에게 큰 부담을 주고 있음을 나타냈다. 11월 제조업의 업황BSI는 73으로 10월(72)과 비슷한 수준에 머물렀으며 12월의 업황전망BSI는 73으로 11월(74) 수준보다 떨어져 경기부진이 계속될 것임을 예고했다. 화학제품 관련업종은 화학제품이 11월 73에서 12월에도 73으로 변동이 없었으나 고무ㆍ플래스틱은 79에서 71로 급락했다. 섬유는 11월 43에서 12월 53으로 급상승했으나 여전히 부진을 면치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생산설비수준 BSI는 104로 현재의 설비수준이 과잉상태라고 느끼는 기업이 더 많았으며 설비투자실행 BSI는 10월과 같은 93을 유지해 투자실적이 당초 계획에 미달한다고 답한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많았다. 이밖에 생산증가율 BSI(92), 신규수주증가율 BSI(88), 가동률 BSI(92) 등 기업 생산활동을 나타내는 지표 대부분이 기준치 100을 밑돌면서 11월과 비슷한 수준에 그쳤다. 비제조업 업황 BSI는 10월보다 2p 떨어진 65에 그쳤고 12월의 전망BSI는 70에서 69로 하락해 경기가 더욱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표, 그래프: | 화학 관련업종의 BSI지수 변화 | <화학저널 2004/12/03>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정밀화학] 바스프, 지속가능한 화학산업 선도 | 2025-10-02 | ||
[금속화학/실리콘] 화학산업, 안티몬 공급불안 “긴장” | 2025-10-02 | ||
[디지털화] 화학산업, EU는 다시 역성장 전환 | 2025-09-2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산업정책] 유럽 화학산업 ② , 전열화·CCS·탄소중립으로 지속가능 화학산업 구축한다! | 2025-10-02 | ||
[산업정책] 유럽 화학산업 ①, 에너지 위기에 공급과잉 생존전략 수립 서두른다!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