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연구원, 지르코늄 도핑 4성분계 개발 … 세계시장 6700억원 수준 차세대 리튬 2차전지의 핵심소재인 고용량 나노 양극활물질과 새로운 제조방법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한국전기연구원 김현수 박사 연구팀은 최근 전지의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차세대 리튬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과 새로운 제조법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12월15일 발표했다. 전지의 양극에 사용되는 소재인 양극활물질은 음극활물질과 전해액, 격리막과 함께 리튬 2차전지의 4대 핵심재료로 전지의 충ㆍ방전에 필수적인 기능을 담당한다. 김현수 박사팀은 고전압, 고용량 3성분계 양극화물질에 지르코늄을 미량 도핑함으로써 4성분계 리튬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을 개발했다. 개발된 양극활물질은 입자크기 200-300㎚의 나노소재로 4.5V의 고전압 구현이 가능하고 성능이 우수한 반면 가격은 저렴해 상당수준의 수입대체 및 수출확대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아울러 휴대전화와 PDA, 노트북, 캠코더 등 정보통신기기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중대형 리튬 2차 전지에도 광범위하게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연구팀은 기존의 복잡한 제조공정을 대폭 줄인 새로운 제조법을 최초로 개발해 제조 공정비와 재료비를 크게 낮추었다. 현재 리튬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세계시장은 약 1만4000톤, 6700억원 수준으로 추산되며 국내 양극활물질 수요는 세계시장의 약 20%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양극활물질 연구성과는 에너지소재 분야 저명 학술지인 Journal of Power Source 인터넷판 9월호를 비롯해 6편의 SCI(과학논문 인용색인) 논문에 게재됐으며, 국내와 일본에 각각 5건과 1건의 특허를 출원했다. <화학저널 2005/12/1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에코프로, 리튬메탈음극 개발 “도전” | 2025-03-12 | ||
[배터리] 중국, 리튬 추출용 소재 수출 규제 | 2025-02-21 | ||
[안전/사고] 포스코, 수산화리튬 유출 “벌금형” | 2025-01-07 | ||
[금속화학/실리콘] 리튬, 공급과잉 해소 “기대감” | 2024-12-17 | ||
[배터리] 포스코, 수산화리튬 생산 확대 가속 | 2024-11-29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