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VA(Poly Vinyl Alcohol)는 섬유·접착제·페이퍼 및 세라믹·화장품 등에 사용되며, 국내의 경우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국내 수요는 91년기준 2만여톤 규모로 일본 Kuraray·Nippon Gohsei 등의 일본 수입품이 국내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이들 업체는 동양화학이 오는 3월 생산예정임에 따라 기존 시장유지를 위해 저가판매에 열을 올리고 있다. 또 PVA 수요가 섬유용 65%, 접착제용 20%, 제지용 7% 등으로 섬유산업이 PVA시장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국내 섬유산업의 후퇴 및 동남아로의 이전 등으로 저속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다만, 올해의 경우 선거특수에 따른 제지산업의 활기로 이 분야용 PVA 수요가 다소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PVA 수요는 향후 5% 내외의 신장이 예상되며, 수입품의 저가침투도 활발, 동양화학이 예정대로 1월말 시제품 생산, 2월 본격생산이 이루어진다해도 국내 시장확보가 용이치만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또 동양화학은 VAM(Vinyl Acetate Monomer)을 기초원료로 출발, 폴리머리제이션을 거쳐 PVAc를 생성하고 PVAc의 Alcoholysis과정에서 PVA와 초산(CH3 CO2H)을 1:1.3 비율로 생산, PVA 1만5000톤, 초산 1만7000여톤의 생산능력을 보유하게 된다. 따라서, 동양화학은 PVA시장 확보를 위해 일본 Kuraray사 등과의 경쟁은 물론 병행 생산되는 초산의 판매를 위해 삼성비피등과의 경쟁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표, 그래프 : | PVA 용도별 수요현황 | PVA 국내 수급추이 | PVA 용도별 수요현황 | 수입품별 시장점유 현황 | PVA 평균 수입가격 추이 | PVA 가격추이 | Poly Vinyl Alchol 적용분야 | 세계 PVA 생산능력 | <화학저널 1992/2/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올레핀] PVA, 세포배양 솔루션으로 관심 | 2025-10-21 | ||
| [합성섬유] PVA섬유, 배터리 팽창 현상 억제 | 2025-08-26 | ||
| [폴리머] PVA, 중국산 유입에 차별화 전략 | 2025-01-21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올레핀] PVA, 고부가가치 영역도 중국이 장악했다! | 2025-10-24 | ||
| [제약] 제약산업, 셀룰로스부터 PVA·부직포 세포배양 캐리어 소재로 육성… | 2025-05-1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