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DI 고수준 유지에 MDI 상승 예감
|
중국의 반덤핑 과세율 조정이 기여 … MDI 바닥 바이어 구매 본격화 동아시아 우레탄 원료가격은 TDI(Toluene Diisocyanate)가 톤당 2000달러 후반 수준을 이어가 MDI(Methyl di-para-Phenylene Isocyante)의 하락세에 제동이 걸릴 조짐을 보이고 있다.중국이 한국과 일본기업들에 대해 TDI 반덤핑 과세율을 조정한 것이 가격상승을 유발했으며, 춘절연휴의 거래도 활발했다. 이에 따라 가격이 하락세에 접어들었던 MDI도 바이어들이 구매 움직임을 나타내며 하락세가 다소 둔화되고 있다. 동아시아의 우레탄 원료는 2005년 여름 일시적으로 연화국면에 접어든 바 있으나 TDI가 미국 허리케인 Katrina와 Rita의 영향 등으로 유럽 및 미국제품의 아시아 공급이 중단돼 초가을부터 상승하기 시작해 연말에는 톤당 CIF 2500달러까지 상승했다. 현재는 허리케인 영향이 대부분 해소됐으나 2006년 1월 중국정부가 실행한 한국과 일본 TDI 기업들에 대한 반덤핑 과세율 조정조치가 새로운 가격요인으로 부상했다. 특히, 반덤핑 과세율 조정은 2003년 11월에 결정된 반덤핑 재조사 결과에 따른 것으로 일본은 Mitsui Takeda Chemical이 12.45%, 기타가 60.02%를 적용받았고, 한국은 동양제철화학이 4.05%, 화인케미칼이 5.08%, BASF가 15.78%, 기타 61.14%의 세율을 적용받았다. 이에 따라 한국과 일본 TDI의 현지가격(수입CIF 가격에 반덤핑 과세ㆍ증치세 등을 부가)의 상승이 불가피했던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편, 구정연휴 이후의 중국 거래는 활발히 이루어져 구정연휴 직전에 책정됐던 톤당 CIF 2750달러를 유지했다. TDI는 중국에서 연질 Foam 수요가 호조를 유지했으며 가격이 높은 일본 및 한국제품을 꺼리는 움직임이 타이트감을 더욱 심화시켜 앞으로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중국의 수요가 5월 골든위크 이전까지 활발해 고가격이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한편, MDI는 2005년 봄 3000달러대 수준이었으나 연말에는 2300달러 전후, 최근에는 Pure MDI가 2300-2400달러, Polymeric MDI가 2050-2100달러까지 하락했다. MDI의 가격하락은 2005년 봄 3000달러대로 급등했던 반동도 나타났고, 2005년 말 중국 Ningbo에서 Yantai Wanhua의 16만톤 플랜트가 건설된 점 등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바이어들이 MDI의 가격이 바닥을 친 것으로 판단해 구매에 나서고 있어 앞으로의 동향이 주목되고 있다. <화학저널 2006/03/14>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EP/컴파운딩] 우레탄 ①, 금호, MDI 강자로 부상 한화, TDI 호조 기대한다! | 2025-11-14 | ||
| [EP/컴파운딩] 우레탄 ②, 완후아, MDI·TDI 시장 장악 MCI·금호, 해외 투자로 대응 | 2025-02-07 | ||
| [EP/컴파운딩] 우레탄①, 자동차·건축 침체로 부진 MDI·TDI 모두 수입 급증 | 2025-02-03 | ||
| [화학경영] 완후아, MDI·TDI 시장 장악에 태양광용 POE도 욕심… | 2024-10-11 | ||
| [EP/컴파운딩] TDI, 시장 침체로 밸류체인 “흔들” | 2023-11-0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