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질계 바이오매스 열병합발전 가동
|
케너텍, 국내 최초로 대구발전소 준공 … 160만TOE 에너지 확보 기대 국내 최초로 목질계 바이오매스 열병합 발전소가 준공됐다.목질계 바이오매스는 광합성 과정을 통해 자라는 모든 식물군을 의미하는데 목질계 바이오매스 에너지는 나무류 등을 Pellet, Chip으로 가공한 고체연료를 연소시켜 얻어지는 열전기 에너지를 말한다. 목질계 바이오매스 열병합 발전이 도심에서 이루어짐으로써 발전소 입지난 해소, 연료비 절감, 대기환경 개선 등 환경ㆍ경제적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총 공사비 350억원이 투입된 발전소는 나무 등 목재로 만들어진 칩(Woodchip)을 하루 평균 145톤을 사용해 스팀 시간당 52톤, 전기 50kwh를 대구산업단지 8사에 공급하게 된다. 산자부는 산림 및 생활주변에서 수거할 수 있는 간벌목과 폐목재의 양을 연간 400만톤으로 추정하고, 400만톤을 모두 이용하게 되면 2005년 신ㆍ재생 에너지 보급량의 32%에 달하는 연간 160만TOE(석유환산톤)의 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 각종 개발현장에서 발생하는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대부분 재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되거나 매립되는 실정이다. 이원걸 산자부 제2차관은 “2006년 상반기 바이오매스 에너지 시장의 민간투자 유도를 위해 발전차액 지원대상에 바이오매스를 새롭게 포함시키고 바이오매스의 안정적 공급과 연료화 사용 확대를 위해 환경부, 산림청 등 관계기관과 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화학저널 2006/05/24>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농화학] PAG, 화장품용 바이오매스화 | 2025-04-02 | ||
| [EP/컴파운딩] PU, 바이오매스화에 성공했다! | 2025-01-23 | ||
| [플래스틱] PE필름, 쌀겨 이용 바이오매스화 | 2024-11-18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EP/컴파운딩] LCP, 바이오매스 개발 경쟁 본격화 | 2025-02-21 | ||
| [점/접착제] 접착제, 전기자동차가 유일한 희망…친환경·바이오매스 강화하라! | 2025-02-0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