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FTA 관세철폐 유예 요구
|
전경련, 한국-미국 FTA 차별화된 대응 지적 … 섬유는 원사기준 완화 전국경제인연합회는 6월26일 주요 산업단체와 국내기업으로 구성된 한국-미국 FTA 업종별 대책반 제2차 전체회의(주재 하동만 전무)를 개최했다.회의에는 산업자원부 문재도 국장이 참석해 제1차 협상결과를 설명하고 제2차 협상에 대비한 업종별 대응전략을 논의했다. 주요 산업단체는 국내 상품의 품목별 경쟁력을 충분히 고려해 양허안을 작성하고 협상에 나서줄 것을 요청했으며, 미국 수출증가가 기대되는 섬유, 의류, 신발, 화물용 자동차 등 미국 관세가 높고 상대적으로 경쟁력을 갖고 있는 품목을 중심으로 관세 조기 철폐를 요구하되, 국내 제품이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일부 기계, 석유화학 품목 등에 대해서는 관세철폐 유예기간을 최대한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산업별로 전략적인 원산지 인정기준을 마련해 관세 철폐 효과가 실질적인 미국 수출증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품목별ㆍ업종별로 차별화된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우회수입 우려가 있는 자동차는 원산지규정을 강화하되, 섬유, 신발 등 미국 수출이 기대되는 산업은 미국의 엄격한 원산지 기준을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섬유는 완제품부문의 고관세가 철폐되더라도 원산지기준이 완화되지 않으면 수출 증가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지적하고, 미국의 대표적인 비관세 장벽인 원사기준(Yarn Forward)을 완화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와 함께 주요 산업단체는 미국의 반덤핑조치 등 무역구제조치로 국내기업이 미국시장에서 많은 애로를 겪고 있다고 지적하고, FTA 협상을 통해 미국의 반덤핑 조치를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무역 분쟁 사전해결절차와 같이 양국간 협의채널을 구축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반덤핑 조치가 완화될 수 있도록 정부가 협상력을 발휘해 줄 것을 요청했다. 산업별 대책반은 자동차, 전자, 섬유, 철강 등 18개 주요 제조업 단체와 LG화학, LG전자, 삼성전자 등 주요기업으로 구성돼 있으며, 경제4단체 등이 공동으로 운영중인 한미 FTA 민간대책위원회 산하의 공산품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화학저널 2006/06/27>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산업정책] 석유화학, 탄소 감축 목표 달성 어렵다! | 2025-11-11 |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3분기도 흑자 기조 유지했다! | 2025-11-07 | ||
| [화학경영] 삼양그룹, 석유화학사업 위기 정면 돌파 | 2025-11-07 | ||
| [산업정책] 여수, 석유화학 위기지역 교부세 추가 확보 | 2025-11-03 | ||
| [화학경영] LG화학, 석유화학 흑자전환 성공했다! | 2025-1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