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종이, 새로운 표시소자 “부상”
특허청, 국내 시장규모 3600만달러 … Xerox 특허 123건 출원 최다 최근 종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표시소자인 전자종이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특허 출원도 늘어나고 있다.전자종이는 표시매체 가운데 가장 우수한 시각특성을 가지고 있는 디지털 종이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플래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 상에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전자종이는 서지 대체용 전자장치, 옥내외 실시간 광고판의 디스플레이 및 개인용 휴대 장치로도 이용 가능하며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단계이다. 전자종이는 종이처럼 얇은 재질로 자료를 다운받거나 입력, 삭제, 저장이 가능하며 쓰고 지우기를 반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신문, 잡지, 도서 등을 대체하는 전자신문, 전자 잡지, 전자책으로 이용 가능하며, 핸드폰, PDA, 손목시계 등의 디스플레이로도 응용되고 있다. 현재 제품화 단계까지 진입한 전자종이 관련 기술로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한 Gyricon의 Gyricon Display 및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E-ink,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네오럭스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가 대표적이다. 또 Kent의 콜레스테롤 액정 디스플레이, Philips의 Electrowetting Display, Iridigm의 MEMS 기술을 이용한 전자종이 및 Bridgestone, LG와 전자부품연구원의 Liquid Powder Display 등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Hitachi와 Bridgestone이 합동으로 연구 개발한 13.1인치 대형 컬러 전자종이 디스플레이를 선보인 바 있다. 독일의 Siemens에서 선보인 e파피루스 전자신문은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받아 화면에 출력할 수 있어 실시간 업데이트가 가능한 신문으로 이용될 전망이다. IDtechEx에 따르면, 2010년에는 충분한 Flexibility와 디스플레이로서의 기능을 완전히 갖춘 전자종이가 대량생산 체제에 접어들어 세계 시장규모는 5억5000만달러, 국내시장은 3600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전자종이 관련기술의 특허 출원은 2001년 이후 응용분야의 성장과 함께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1997-2006년까지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특허 출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은 2001년 최대 138건, 미국은 2003년 최대 130건의 특허를 출원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는 2002년부터 외국 출원을 기초로 하는 우선권주장 출원이 급증하면서 2003년에는 68건, 2004년에는 110건으로 외국의 원천 기술이 국내에 진입하기 시작하면서 국내 출원인에 의한 출원도 증가하기 시작했다. 주요 출원인의 동향을 살펴보면, 미국은 Xerox가 123건으로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했고, E-ink가 80건, Seiko Epson이 72건, Copytele이 56건, Sipix가 44건, Cannon이 42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Cannon이 72건으로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했고, Seiko Epson이 52건, Toppan이 48건, Fujixerox가 35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는 Philips가 62건, Seiko Epson이 51건, LG전자가 27건, Sipix가 13건,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6건, 3M이 6건, LG필립스LCD가 5건, E-ink가 5건, Bridgestone이 3건 등의 순으로 국내 출원인에 의한 특허 출원도 2002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화학저널 2006/08/25>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화학경영] 바스프, 새로운 성장동력 “아시아” | 2025-05-30 | ||
[정밀화학] 촉매, 새로운 산화반응 원리 제시 | 2024-02-27 | ||
[점/접착제] 접착제, 새로운 트렌드 적응하라! | 2023-12-2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중국, 공급과잉 심각화 유발 PSC 새로운 게임체인저로… | 2025-01-10 | ||
[화학경영] 바스프, 새로운 변혁을 준비한다! | 2024-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