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외에는 미국수출 낙제점
|
KOTRA, 미국시장 점유율 중국ㆍ일본에 밀려 … 패러다임 변하 시급 수출시장 가운데 전략적으로 가장 중요한 미국에서 한국의 경쟁국 대비 수출정체와 점유율 하락이 심각한 상태이며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KOTRA가 3월11일 발표한 <미국시장 점유율 하락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활용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에 대한 수출이 경쟁국들에 비해 부진한 것은 미국시장의 최근 경향을 따라잡지 못하고 경쟁력마저 뒤처지기 때문으로 미국시장 점유율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된다. 한국의 미국수출은 2005년 5.2% 감소해 20대 미국수출국 중 유일하게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데 이어 2006년에도 증가율이 4.7%에 그쳐 중국(20.9%)과 일본(7.2%)에 크게 뒤졌다. 이에 따라 미국 수입시장에서 한국제품의 점유율은 1989년 4.2%를 정점으로 2000년 3.3%, 2003년 2.9%, 2006년 2.5%로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또 10대 수출품목 가운데 운송기계와 고무제품을 제외한 대부분의 점유율이 중국에 이미 추월당했고 전기기계류와 일반기계류 등은 말레이지아에도 점유율이 뒤진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수출이 부진한 것은 수요측면을 등한시하고 품질, 가격 중심의 공급 일변도 마케팅을 고집하는 등 미국 시장의 변화추세를 따라잡지 못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제품경쟁력의 하락도 무시할 수 없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 바이어 143사와 현지진출 한국기업 142사 등 285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한국의 수출경쟁력은 73.73점으로 일본(80.37)과 중국(77.30)에 뒤지며 타이완(71.13)보다는 약간 나은 수준인 것으로 평가됐다. 한ㆍ중ㆍ일과 타이완, 인디아 등 5개국의 경쟁력을 요인별로 비교 평가한 결과에서도 한국은 제조원가(5점 만점에 3.10)가 중국(4.49)에, 브랜드 인지도(3.05)와 기술력ㆍ품질(4.00)은 일본(각각 4.25와 4.55)에 크게 뒤지는 등 8개 분야에서 단 한개도 1위를 차지하지 못했다. 미국수출 부진의 타개책 가운데 하나로 거론되는 FTA의 효과도 제조원가나 운송비용 등 가격적 측면보다는 국가이미지, PRㆍ마케팅 등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KOTRA는 수출규모에서 중국에 이어 2위이지만 전략적으로 가장 중요한 미국시장에서 20년간 시장점유율이 3% 문턱에서 정체 또는 하락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기존 틀로는 현상유지도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어서 가격면에서 후발국과의 격차가 더욱 확대되고 기술력과 마케팅 등에서는 선진국과의 격차를 좁히지 못하는 <샌드위치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가격경쟁보다는 부품, 기술, 자본 등을 연계한 통합적 관점에서 글로벌 협력을 모색해야 하고 이를 위해 글로벌 비즈니스 모델을 운영할 수 있는 역량 확보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표, 그래프: | 미국수출 10대 품목의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 변화 | <화학저널 2007/03/12>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산업정책] 석유화학, 탄소 감축 목표 달성 어렵다! | 2025-11-11 |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3분기도 흑자 기조 유지했다! | 2025-11-07 | ||
| [화학경영] 삼양그룹, 석유화학사업 위기 정면 돌파 | 2025-11-07 | ||
| [산업정책] 여수, 석유화학 위기지역 교부세 추가 확보 | 2025-11-03 | ||
| [화학경영] LG화학, 석유화학 흑자전환 성공했다! | 2025-1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