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폴리머 연구개발 활성화
|
과당의 5-HMF 전환기술 개발 … DuPont은 바이오 플래스틱 투자 바이오폴리머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미국 Wisconsin 대학의 James A. Dumesic 교수 연구팀은 최근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한 바이오폴리머 기술을 개발했으며 연구결과가 Science 2006-312호에 소개된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과당(Fructose)을 5-HMF(Hydroxymethylfurfural)으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으며 5-HMF는 폴리머와 의약품 등의 잠재적 중간원료로 평가되고 있다. 5-HMF는 폴리에스터(Polyester) 및 나일론(Nylon) 유사물질(Analog)의 출발원료인 2,5-Furan Carboxylic Acid 및 주요 바이오 베이스 중간물질인 Succinic Acid로 쉽게 변환되며 석유계 HMF 합성공정보다 단순해 코스트가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결과적으로 5-HMF, 2,5-Furan Carboxylic Acid, Succinic Acid 등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등과 물성이 유사한 바이오 폴리머의 원료로 문제가 없으며 고유가 시대와 친환경 트렌드에 적극 부합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DuPont Engineering Polymers도 바이오 플래스틱 시장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데 최근 Tate & Lyle과 50대50 합작기업을 설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사는 2006년 말까지 미국 테네시 Loudon 소재 Bio-PDO(Propanediol) 4만5000톤 플랜트를 건설할 예정으로 Bio-PDO는 1,4-BDO(Butanediol) 및 1,3-PDO의 대체재로 파악되고 있다. Bio-PDO는 PTA(Purified Terephthalic Acid)와 결합돼 PTT(Polymer Polytrimethyene Terephthalate) 제조에 활용되는데 DuPont은 현재 PTT 섬유 브랜드 Sorona를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07년 중반부터는 PBT와 물성이 유사한 Sorona 브랜드의 PTT 폴러머를 런칭할 계획으로 재생원료 비율이 37%에 달할 예정이며 노스캐롤라이나 Kinston 공장에서 PTT Resin을, 웨스트버지니아 Parkersburg 공장에서 PTT 컴파운드를 생산할 방침이다. 2007년 4/4분기부터는 Bio-PDO계 폴리올(Polyol)을 원료로 하는 엘라스토머(Elastomer) 브랜드 Hytrel이 생산될 예정으로 재생원료 비율이 40-60%에 달하고 내후성과 기계적 성질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DuPont은 2010년까지 재생가능한 원료를 이용한 바이오 화학제품의 매출비중을 25%로 확대할 계획이며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Cargill 등과 한판 대결을 펼칠 전망이다. <화학저널 2007/03/16>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제약] 머크, JSR 바이오 프로세스 소재 사업 인수 | 2025-11-11 | ||
| [바이오화학] 바이오산업, 23조원 시장으로 성장 | 2025-11-11 | ||
| [화학경영] 화학기업, 바이오 CDMO 체질 개선 | 2025-11-10 | ||
| [제약] 삼성바이오, 매출 신기록 넘고 톱티어로 도약 | 2025-11-03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바이오연료] HVO, 바이오연료의 중심 부상 글로벌 흐름을 올라타라! | 2025-11-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