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단지 토양 유해물질 “범벅”
|
환경부, 26개 지점 중 23개에서 중금속 기준초과 … BTEX도 검출 2006년 국가산업단지의 토양환경을 조사한 결과, 창원단지는 총 492개 조사지점 중 36개 지점이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초과(초과율 7.3%)했고, 여수단지는 총 610개 조사지점 중 26개 지점이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초과(초과율 4.3%)한 것으로 나타났다.환경부는 산업단지 중 석유화학 및 조립금속 업종이 주로 입주하고 있어 토양오염 개연성이 높은 창원ㆍ여수 국가산업단지에 대해 <2006년 산업단지 토양지하수 환경조사사업>을 실시한 결과를 5월25일 발표했다. 창원단지는 금속제품 적치장, 유류 또는 화학물질 저장탱크 주변 등 토양오염의 가능성이 높은 492개 지점에서 1460개 시료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총 36개 지점(초과율 7.3%)에서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개 지점에서 중금속 물질인 아연, 니켈, 구리 항목이 기준을 초과했고, 16개 지점에서 유류물질인 TPH(석유계 총 탄화수소)가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분서됐다. 지하수는 토양오염 예상지역과 지하수 흐름방향을 고려해 50개 지점의 지하수 관 측정에서 108개의 시료(지점당 2-3회 측정)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4개 지점(초과율 8.0%)에서 공업용수 지하수 수질기준 14개 항목 중 TCE(Trichloroethylene), PCE(Perchloroethylene)가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수단지는 유류 또는 화학물질 저장탱크 등 토양오염의 가능성이 높은 특정 토양오염 유발시설 주변 610개 지점에서 1479개 시료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총 26개 지점(초과율 4.3%)에서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연, 비소, 니켈, 납 등 중금속이 23개 지점에서 기준을 초과했다. 중금속 초과지점은 도로변이 15개, 공장 내부가 8개 지점이었다. 3개 지점에서는 유류물질 중 TPH와 BTEX가 기준을 초과했다. BTEX는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에틸벤젠(Ethylbenzene), 자일렌(Xylene)을 총칭하는 단어이다. 지하수는 36개 지하수 관측정에서 89개 시료를 채취 분석한 결과, 1개 지점(초과율 2.7%)에서 공업용수의 지하수 수질기준 중 페놀(Phenol)이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하수의 전반적인 수질상태는 양호했다. 산업단지 토양환경 조사는 환경부가 토양오염 취약지역의 오염실태를 조사해 오염토양과 지하수를 정화하고 국가토양환경정책 추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전국 25개 국가 및 지방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2004년부터 연차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2007년에는 울산미포, 시화, 청주, 익산단지를 대상으로 실시해 2011년까지 25개 산업단지에 대한 조사를 완료할 계획이다. <화학저널 2007/05/25>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여수단지, 석유화학 고부가 전환 주도 | 2025-09-09 | ||
| [화학경영] 여수단지, 생산 확대 속 수출 둔화 | 2025-09-08 | ||
| [산업정책] 여수단지, 위기극복에 3700억원… | 2025-07-17 | ||
| [안전/사고] 여수단지, 컴앤텍 공장에서 화재 | 2025-07-07 | ||
| [안전/사고] 여수단지, 해상 염산 유출 “방제” | 2025-07-0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