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L, 상동광산 5억달러 투자 재개발
|
텅스텐ㆍ몰리브덴광 매장가치 600억달러 평가 … 국내 광물생산 확대 국제 광물가격의 고공행진에 대처하기 위해 국내 광산의 광물생산과 재개발이 확대될 전망이다.특히, 텅스텐과 몰리브덴광이 매장된 상동광산의 재개발을 위해 외국기업들의 대규모 자금이 투입된다. 9월12일 광업진흥공사에서 열린 제6회 광물자원 투자포럼에서 김정관 산업자원부 에너지자원개발 본부장은 “금속가격 상승으로 기존 개발광종인 금, 철 외에 동, 몰리브덴, 중석도 개발잠재력이 있다”며 취약한 국내 부존 금속광의 개발 확대 필요성을 지적했다. 1990년대 이후 광산물 수요가 5년마다 2배 정도 급증하면서 금속광은 전체 수요량의 99.3%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지만 국내에서 8개 광산을 신규 개발하면 연간 1135억원, 앞으로 10년간 1조1000억원의 생산을 기대할 수 있어 다소나마 국제 광물가격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산림청도 포럼에서 광물탐사와 채굴을 위한 산지 전용 및 채광계획 인허가 절차를 소개하면서 “산지의 보전과 개발이라는 2가지 명제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포럼에서 캐나다의 자원탐사 전문기업 OTL는 강원도 영월 상동광산의 텅스텐과 몰리브덴광 매장량의 잠재가치를 600억달러로 평가하면서 상동광산에 2010년까지 5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국내 광업기업과의 제휴의사를 피력했다. 국내 유수의 텅스텐광이었던 상동광산은 1990년대 중국의 가격공세에 밀려 현재는 휴광상태이다. <화학저널 2007/09/1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