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걸프6국 수입 많다!
|
2006년 7억3000만달러로 30% 증가 … FTA 대비 서둘러야 한국과 GCC(걸프회원국)과의 FTA(자유무역협정)이 급부상하고 있어 석유화학의 대응책 마련이 요구된다.2006년 기준 한국-GCC 교역규모는 618억달러로 수출 77억달러, 수입 540억달러로 463억달러의 무역적자를 기록했다. 특히, GCC는 국제유가 급등에 따라 2005년부터 연평균 20% 이상의 수출신장률을 기록하고 있어 FTA 체결을 통해 수출 확대를 유지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주요 수출제품은 2006년 기준 수송기계(20억8100달러), 철강제품(14억6500만달러), 산업용 전자제품(5억6300만달러), 산업기계(5억500만달러), 가정용 전자제품(4억3900만달러)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주요 수입제품은 원유 및 석유제품(527억3000만달러), 석유화학제품(7억2000만달러), 비철금속제품(3억5000만달러) 순으로 원유 및 석유제품이 97.5%로 압도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06년에는 전체 원유 및 석유제품 수입액 855억달러 중 GCC 수입액이 527억3000만달러로 61.6%를 차지했고, FTA 체결을 통해 안정적인 원유자원을 확보하고 에너지 개발사업의 진출기반을 마련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중국과 GCC가 FTA를 체결하면 주력 수출제품 시장 잠식이 우려되며, 중국의 중동산 석유 수입량 급증으로 안정적인 원유자원 확보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도 우려되고 있다. 다만, GCC와의 FTA는 원유 및 석유제품 수입관세 철폐에 따른 관세 수입 감소(전체 관세 수입의 약 6%)로 이어져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GCC의 FTA는 GCC에 대한 건설 및 플랜트 프로젝트 수주여건 개선에도 도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고유가에 따른 GCC 각국의 풍부한 오일머니를 바탕으로 각종 프로젝트 발주가 계속 확대추세를 보이고 있어 FTA를 체결하면 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중동시장 진출 기반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표, 그래프: | GCC 주요 수입품목 | <화학저널 2007/10/19>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중국발 공급과잉 타격 장기화 | 2025-11-19 |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2026년 영업이익 개선 기대 | 2025-11-18 | ||
| [화학경영] LG화학, 석유화학 부진으로 신용등급 강등 | 2025-11-18 | ||
| [석유화학] 롯데‧현대, 석유화학 사업재편 “1호” | 2025-11-17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석유화학 불황에도 “흑자” | 2025-11-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