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V 셋톱박스 사업활성 본격화
|
특허청, 2005년 이후 특허출원 급증 … 시장전망 양호해 경쟁 치열 2007년 12월28일 IPTV법(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사업법)이 통과됨으로서 2008년부터 IPTV 사업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돼 IPTV 셋톱박스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관련업계는 KT가 가입자 100만, 하나로텔레콤이 150만, LG데이콤이 20만을 목표로 내세우고 있어 2008년 IPTV 셋톱박스 시장은 200만대에 3000억원 이상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통신업계의 빅3에 이어 다음커뮤니이케이션, 한국마이크로소트, 셀런도 공동으로 IPTV 셋톱박스 시장에 뛰어들었는데, 2008년 1월22일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국내외 IPTV 사업에 본격 진출한다고 발표했다. 특허청에 따르면, IPTV 셋톱박스 관련 특허출원은 1999-2005년 83건에 불과했으나 2006년 37건, 2007년 77건, 2008년 1월 7건으로 2005년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게임, 메신저, 노래방 기능 등 부가서비스 특허출원이 38건(19%),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선호 채널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29건(14%), 휴대단말기, 무선인터넷, VoIP(Voice of IP)폰 등 타 기기와의 결합이 28건(14%), 광고가 22건(11%), 전자결재, 쇼핑 등 전자상거래가 18건(9%), 기타 28건(14%)이 전체 출원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전반적인 IPTV 산업사슬에서 IPTV 셋톱박스의 완제품 조립이 비교적 쉽고 시장발전 전망이 양호해 많은 제조기업이 뛰어들어 경쟁 또한 비교적 치열하며 전체 IPTV 산업의 평균 수준보다 높은 경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출원인으로는 KT, 하나로미디어, LG데이콤을 포함한 삼성전자, LG전자 등 대기업이 74건(36%), 개인 37건(18%), 연구기관이 10건(5%), 샐런, 휴맥스 등 벤처기업을 포함한 중소기업이 78건(38%), 국외 5건(5%)으로 IPTV 사업자 및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74%를 차지하고 있다. 특허청 관계자는 “IPTV 셋탑박스 분야는 세계 최고수준의 IT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국내의 실정과 맞물려 다양한 부가서비스와 응용들을 창출할 수 있다”며 “개인과 연구기관에서 전체 특허출원의 23%를 차지하고 있어 앞으로 기업 활동이 활발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은 기자> 표, 그래프: | IPTV 셋탑박스 특허출원 동향 | <화학저널 2008/2/25>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전자소재] IPTV, KT가 거함 삼성전자 제쳤다! | 2007-03-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