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S/EPS 국내 PS 시장은 폴리올레핀과 마찬가지로 상황의 심각성은 덜하지만 공급과잉 및 가격하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 환경문제와 맞물려 수요창출이 어려울뿐만 아니라 부품의 범용수지화, 중국 및 동남아사아의 완구를 비롯한 저가품 유입으로 이중고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PS 시장은 그동안 한남화학이 수급·가격을 주도해 왔으나 90년 이후 급격한 신·증설에 따른 시장의 다원화로 내수 및 수출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PS(EPS 포함) 수급현황을 보면 공급은 82년 7만4900톤에서 92년 72만6000톤으로 10배 가까이 증가하였으나, 수요는 82년 5만8000톤에서 92년 45만톤으로 공급증가율이 수요증가율을 훨씬 상회하고 있어 공급과잉이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EPS는 92년 상반기 제일모직 및 동부화학의 신규참여로 6개 기업으로 증가하고 수요는 환경규제로 정체상태에 있어 일부용도를 제외하고는 수요창출이 어려운 상황이다. 92년 생산은 91년대비 10.7% 증가한 71만2300톤, 판매는 총 68만9900톤으로 집계됐다. 표, 그래프 : | PS 수급실적(EPS 포함) | PS 용도별 판매 현황(EPS 포함) | PS 기업별 생산·판매현황 | ABS 수급실적 | ABS 용도별 판매현황 | ABS 기업별 생산·판매현황 | PVC 수급실적 | PVC 용도별 판매 | PVC 기업별 생산·판매실적 | <화학경제 1993/8/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폴리머] 합성수지, 컴파운드 일원화한다! | 2025-10-13 |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합성수지 침체 심각 | 2025-02-04 | ||
| [폴리머] 합성수지, 수입 규제에서 제외했다! | 2024-04-29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폴리머] 합성수지, 중국 수출이 수입 앞섰다! | 2025-04-25 | ||
| [화학무역] 합성수지, 인도네시아 수출 “혼란” | 2023-03-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