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자동차 기술 선진국 “맹추격”
전경련, 10년 이내 88% 수준 … 클린디젤 자동차 89%로 가장 높아 국내 친환경 자동차 기술수준이 앞으로 10년 안에 선진국의 88% 수준까지 올라갈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전국경제인연합회는 <자동차산업의 미래 그린카 현황 및 전망>을 통해 현재 국내 친환경 자동차 기술수준이 선진국 대비 76%(3-4년 격차) 수준이지만, 10년 안에 88% 수준(1-2년 격차)으로 향상돼 선진국과 경쟁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했다. 전문가들은 클린디젤 자동차의 기술수준을 78%로 가장 높게 평가했으며, 연료전지 자동차 76%, 전기자동차 76%,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75% 수준으로 평가했다.
또 2020년에 자동차 시장을 선도할 기술로는 50%가 내연기관차, 30%가 하이브리드 자동차라고 응답했으며 클린디젤 자동차라고 응답한 비율은 11%, 전기자동차는 9%에 불과했다. 아울러 2030년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33%)가 시장을 선도하고, 전기자동차(23%)와 연료전지 자동차(17%) 비중이 점차 높아져 다양한 친환경 자동차가 경쟁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편, 한국은 세계 5위의 자동차 생산국이지만 세계 100대 부품기업에는 현대모비스(19위), 만도(73위) 2가만이 포함돼 있어 완성차 대비 경쟁력이 낮은 부품·소재기업의 육성도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친환경 자동차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배터리, 전기모터, 수소 저장기술 등 핵심부품 및 소재의 국산화가 필수적으로 부품기업이 완성차와 공동으로 친환경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고우리 기자> 표, 그래프: | 선진국 대비 친환경 자동차 기술수준 | <화학저널 2009/9/25>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천연가스] GS칼텍스, 저탄소 연료 기술 강화 | 2025-09-30 | ||
[화학경영] LG화학, 협력기업 기술도 보호한다! | 2025-09-26 | ||
[플래스틱] 필름, 최신 응용기술 한자리에… | 2025-09-19 | ||
[환경화학] 도시유전, RGO 기술로 중동 진출 | 2025-09-1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폴리머] PS, 중합기술 활용해 고부가화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