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수 브롬산염 함량 조사 “논란”
환경부, 157개 제품 국내 기준치 충족 … 과학원은 4개 초과 주장 중앙부처와 광역자치단체 산하 전문분석 기관이 각각 실시한 생수(먹는 샘물) 제품의 브롬산염 성분분석 결과가 달라 논란이 일고 있다.브롬산염은 동물에 대한 발암성은 확인되나 인체 발암 근거는 부족한 잠재적 발암물질로 국제암연구기관(IARC)이 분류하고 있으며, 브롬이온이 함유된 원수를 오존 처리하는 과정에서 주로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는 10월 12-17일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157개 생수(먹는샘물) 제품을 수거해 브롬산염의 함유량을 분석한 결과 모든 제품이 기준을 충족했다고 11월24일 발표했다. 환경부는 157개 제품(국내산 150개, 수입 7개) 중 33개(제조 31개, 수입 2개)에서 브롬산염이 검출됐으나 최대 0.0065mg/ℓ로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과 국내 수질기준 0.01mg/ℓ를 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과학원의 분석 결과는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의 최근 조사결과와 달랐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9월 14-24일 서울 시내에 유통되고 있는 47개 생수제품의 성분을 조사한 결과 8.5%인 4개 제품에서 국내 기준치를 초과한 브롬산염이 검출됐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해당제품의 브롬산염 농도는 각각 0.0155㎎/ℓ, 0.0185㎎/ℓ, 0.0132㎎/ℓ, 0.0237㎎/ℓ로 기준치보다 최대 2.3배 높았다. 한 달 정도의 시간차는 있지만 분석기관에 따라 다른 브롬산염 성분분석 결과가 완전히 달라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된 것이다. 환경부 물산업지원팀 관계자는 “국내 최고 분석기관의 연구결과라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고 말할 수는 없다”고 해명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9/11/24>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바이오연료] 바스프, 재생수소로 탈탄소화 가속 | 2022-10-04 | ||
[리사이클] SK케미칼, CR PET로 생수병 생산 | 2021-10-21 | ||
[바이오연료] 태광산업, 부생수소 연료전지 진출 | 2021-09-06 | ||
[리사이클] SCG, 재생수지 사업 본격화한다! | 2021-05-3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EP/컴파운딩] PC, 재생수지 시장 “급성장” | 2021-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