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머, 재가동 잇따라 “공급과잉”
JG Summit PE 40만톤 재운전 … PTTPE는 LDPE 30만톤 시운전 가동중단에 들어갔던 아시아 폴리머 플랜트들이 잇따라 재가동에 들어간다.JG Summit는 Batangas 소재 PE(Polyethylene) 20만톤 플랜트를 4월1일부터 재가동에 돌입해 50%의 가동률을 보이고 있으며, PP(Polypropylene) 18만톤 플랜트는 4월 중순 재가동할 예정이다. FPC는 Mailiao 소재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35만톤 플랜트와 LLDPE(Linear Low-Density PE) 26만4000톤 플랜트를 2월28일 재가동했다. PTT Chem의 Map Ta Phut 소재 LLDPE 40만톤 플랜트 역시 3월1일부터 재가동에 돌입했으며, Evolue는 Chiba 소재 LLDPE 24만톤 플랜트를 3월 초부터 재가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MOC의 Map Ta Phut 소재 HDPE 40만톤 플랜트와 PP 40만톤 플랜트는 가동률이 60%에 머물고 있다.
Bangkok PE의 Map Ta Phut 소재 HDPE 25만톤 플랜트는 2월28일부터 재가동에 들어갈 예정이었으나 가동이 연기됐고, Haldia의 Haldia 소재 PE 55만톤, PP 27만톤 플랜트는 3월31일까지 가동을 중단했다. <박찬영 기자> 표, 그래프: | 아시아 폴리머 플랜트 가동현황(2010) | <화학저널 2010/4/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한화토탈, 대산 컴플렉스 재가동 | 2025-10-02 | ||
[첨가제] 첨가제, 폴리머 생산 감소로 타격 | 2025-09-23 | ||
[올레핀] 아크릴산, LG화학 재가동 어렵다! | 2025-09-23 | ||
[에너지정책] 프로필렌, 300만톤 재가동한다! | 2025-08-20 | ||
[올레핀] MTBE, 중국 재가동으로 공급과잉 | 2025-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