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가격 감내수준 넘어섰다!
상의, 제조업 70% 대책 없어 … 구리ㆍ철광석ㆍ니켈 고공행진 최근 구리, 철광석 등 원자재 가격의 고공행진이 지속되면서 제조기업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전국 504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실태를 조사한 결과 24.8%가 원자재 가격 상승이 감내할 만한 수준을 넘었다고 답했다. 앞으로 약 10% 상승까지는 감내할 수 있다는 응답은 60.1%였고, 20% 이내 상승까지 감내할 수 있다는 응답은 12.1%에 그쳤다.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피해는 중소기업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감내 수준을 넘었다고 응답한 중소기업이 전체의 3분의 1(29.8%) 수준이었고, 10% 이상 상승하면 감내 불가능이라고 답한 중소기업이 59.2%를 차지했다. 구리 가격은 전년대비 70% 올랐고, 니켈은 120% 이상, 알루미늄은 75% 이상, 아연은 70% 상승했기 때문이다. 실제 피해규모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기업의 31.9%가 원자재 가격의 상승 여파로 경영에 피해가 매우 심각하다고 답했고, 61.3%가 피해가 다소 있다고 응답했다. 구체적인 피해 형태로는 생산비 상승에 따른 채산성 악화(53.0%), 구매 자금난(41.1%), 원료 공급부족에 따른 생산차질(22.6%), 제품가격 인상에 따른 매출 감소(21.9%) 순으로 나타났다. 원자재 가격 상승에 대한 대책이 있는지를 묻는 말에는 69.2%가 없다고 답했다. 대기업들도 54.4%가 별다른 대책이 없다고 응답해 앞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피해가 더욱 확산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재 가격 안정을 위해 정부가 추진해야 할 정책과제로는 원자재 구매자금 지원 확대 및 대출조건 개선(40.7%)이 꼽혔다. 이어 수입관세 인하(38.1%), 공급기업 담합 등 불공정거래 단속(37.5%), 정부 비축물량 공급 확대(21.0%), 산업용 원료에 부과되는 개별소비세 면제(20.4%) 등이 지적됐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10/04/16>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PP, 아시아 가격 일제 하락했다! | 2025-09-15 | ||
[석유화학] EDC, 저가 경쟁에 가격 떨어졌다! | 2025-08-21 | ||
[폴리머] ABS, 원료 강세에도 가격은 “추락” | 2025-07-29 | ||
[석유화학] HDPE, 수요 부진에도 ‘가격 방어’ | 2025-07-21 | ||
[국제유가] 국제유가, 사우디 가격 인상에 상승 | 2025-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