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DPE, 한화 가동중단 영향 “막대”
Sinopec도 PE 34만톤 12월1일부터 가동중단 … 중국수요 급감이 변수 아시아 폴리머 플랜트의 가동중단이 11-12월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나 파장이 예고되고 있다.한화케미칼은 여수 소재 No.1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9만6000톤 플랜트를 11월16일부터 13일간, No.2 10만7000톤은 11월15일부터 12일간 정기보수에 돌입했다. Sinopec도 Guangdong 소재 LLDPE(Linear LDPE) 22만톤, LDPE 12만톤, PP(Polypropylene) 17만톤을 12월1일부터 36일간 가동중단할 예정이다. 타이의 HMC는 Map Ta Phut 소재 PP(Polypropylene) 45만톤 플랜트를 11월 정기보수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아시아의 LDPE Spot 가격은 11월 말 CFR FE Asia 톤당 1645달러로 30달러 상승했다. 한화케미칼 관계자는 “한화케미칼의 LDPE 2기가 11월 중순부터 가동중단에 돌입한데 이어 Sinopec이 12월 초부터 가동을 중단함에 따라 아시아 LDPE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며 “그러나 중국수요가 급감하고 있고 동아시아의 과잉으로 가동률 조정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JG Summit은 Batangas 소재 HDPE(High-Density PE) 20만톤 플랜트의 가동률이 원료 공급부족으로 30-40%에 그치고 있다. <유현석 기자> 표, 그래프: | 아시아의 PEㆍPP 플랜트 가동현황(2010) | <화학저널 2010/11/30>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한화토탈, 대산 컴플렉스 재가동 | 2025-10-02 | ||
[합성섬유] 대한화섬, 바이오 원사 상용화 | 2025-09-29 | ||
[석유화학] LLDPE, 공급과잉‧환율 부담에… | 2025-09-29 | ||
[석유화학] LDPE, 인디아 내수에 밀려 “하락” | 2025-09-29 | ||
[석유화학] LLDPE, 공급과잉‧환율 부담에… | 2025-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