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복 교수, 셀룰로오스 분해 효소 이용 … 국내외 특허기술 선점
화학뉴스 2012.09.20
청국장 발효균주를 대체에너지 개발에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국내 연구진이 제시했다.
<청국장 박사>로 유명한 호서대 생명공학과 김한복 교수는 청국장의 주성분인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 B1 균주가 베타-1, 4-클루카나제(4-Glucanase)라는 효소를 분비해 셀룰로오스 바이오연료와 같은 대체에너지에 사용될 수 있음을 규명했다고 9월20일 발표했다. 김한복 교수는 효소의 유전자 정보도 해독했으며, 관련특허는 최근 국내와 미국, 일본에 등록이 완료됐다. ![]() 바이오연료로 사용되는 셀룰로오스(Cellulose)는 나무껍질과 식물 줄기, 씨앗 등에 널리 분포하지만 분해하기 어려운 것이 가장 큰 단점이었으나, 청국장에 함유된 베타-1, 4-글루카나제와 같은 셀룰로오스 분해 효소를 이용하면 효소가 당(糖)을 만들고, 당이 효모 등으로 발효되는 과정을 거쳐 에탄올(Ethanol)을 생산할 수 있다고 김한복 교수는 밝혔다. 청국장 발효 균주가 콩 껍질의 셀룰로오스를 분해하는 기능을 이용해 나무껍질 등에 존재하는 셀룰로오스도 분해시켜 대체에너지로 쓰는 것이다. 제조된 알코올은 기존 휘발유 등에 혼합해 대체에너지원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실제 미국은 이미 옥수수를 이용해 만든 바이오에탄올을 휘발유에 혼합해 사용하고 있다. 다만, 청국장 발효균주의 효소액은 산성이나 중성에서 만들어진 기존 셀룰로오스 분해효소와 달리 알칼리성 영역에서 더 높은 활성을 갖고 있어 생산효율을 높이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한복 교수는 “청국장 발효균주에서 분비되는 효소가 직접 알코올을 만들지는 못하지만 셀룰로오스를 분해하고 당까지 만드는 능력은 갖고 있다”며 “앞으로 알칼리성 영역에서 셀룰로오스 연구의 활성화를 대비해 관련특허를 선점한데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화학저널 2012/09/20>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바이오연료] 바이오에탄올, 2세대 생산 본격화 | 2025-09-0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바이오연료] 바이오에탄올, EV 캐즘으로 재평가 | 2025-02-07 | ||
[바이오연료] 바이오에탄올, 휘발유에 혼합한다! | 2024-10-18 | ||
[바이오연료] 바이오에탄올, 폐지로 생산한다! | 2024-10-04 | ||
[올레핀] 바이오에탄올, 나프타 대체 투입으로 올레핀·BTX 생산한다! | 2023-11-10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