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즈끼, 자동차용 PP 물성 개선
내긁기성 향상으로 무도장화 실현 … 자동차 수요에 대응 가능
화학뉴스 2012.11.07
스즈끼(Suzuki)가 PP의 내긁기성(Scratch Resistance)을 대폭 향상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Styrene 분량이 다른 2가지 수첨 Styrene 계열 엘라스토머(Elastomer)를 배합하는 방법으로 기존 PP의 4배에 달하는 내긁기성을 가진 SSPP(Suzuki Super Polypropylene)를 독자적으로 개발했다. 투명도가 높으며 제조단계에서 착색도 가능하고, 개량을 통해 표면의 요철무늬를 더 자유롭게 가공할 수 있어 내장부품의 적용부위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제 도장부품의 교체를 고려해 연구개발이 추진했다. PP는 코스트가 낮고 물성의 균형이 우수하며 성형가공성이 뛰어나 범퍼, 내외장 장식재 등 자동차에 많이 채용되고 있다. 최근 차체 경량화 요구가 높아지면서 물성 개량을 통해 더 가벼워졌으며 적용부위도 확대되고 있다. 또 환경부담 저하 및 단가 절감을 위해 자동차부품의 무도장화가 진행되면서 착색 PP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스즈끼는 h-PP(homo-Polypropylene)에 SEBS(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를 첨가해 활석 같은 무기충진재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 소재와 같은 수준의 기계적 물성을 실현한 SSPP를 개발하고 있다. 첨가제 최적화와 성형기술 개량에 독자적인 무도장화 기술을 조합해 기존 소재 대비 10%의 경량화를 달성하고 고휘도 실버메탈릭 색상의 스키드 플레이트(Skid Plate)를 실용화하고 있다. SSPP는 표면경도가 높아 무도장화를 가능하게 하는 내긁기성을 보유하는데 얕은 요철처럼 거울 면에 가깝게 만드는 수준에는 이르지는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화학저널 2012/11/07>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자동차소재] 타이어, 전기자동차용 개발 주력 | 2025-09-02 | ||
[합성고무] HNBR, 자동차용 수요 증가 기대 | 2025-06-10 | ||
[첨가제] 가소제, 자동차용 수요 감소로 타격 | 2025-05-15 | ||
[EP/컴파운딩] EU, 자동차용 탄소섬유 규제한다! | 2025-04-0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자동차소재] 자동차용 플래스틱, 경량화‧고기능화가 기회 유럽 ELV 규제 주목하라! | 2025-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