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어코드(Tire Cord) 시장이 폴리에스터(Polyester) 소재를 중심으로 안정화되고 있다.
국내 타이어 생산량은 2012년 9711만본으로 전년대비 0.1% 감소해 타이어코드 수요도 약간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승용차타이어가 7676만9000으로 1.8%, 트럭·버스타이어는 518만5000본으로 2.3% 증가했으나 경트럭타이어가 1453만1000본으로 9.6%, 산업·농업용 타이어는 62만5000본으로 4.0% 감소했다. 국내 타이어코드 생산은 2004년 이후 바이어스 타이어(Bias Tire)에서 래디얼 타이어(Radial Tire)로 100% 전환됨으로써 폴리에스터 타이어코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래디얼 타이어에는 폴리에스터가 90% 이상 채용되고 있기 때문으로, 고강도·고내열성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는 나일론(Nylon)이 일부 채용되고 있다. 폴리에스터는 나일론보다 가격이 2배 이상 저렴해 나일론 영역까지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고유 영역에서는 나일론을 능가하기 어려워 당분간 소재 대체 움직임이 정체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은 자동차 생산량 감소로 타이어 생산량도 줄어들고 있어 타이어코드도 2014년까지 수요가 확대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표, 그래프: <타이어의 구조><폴리에스터코드 수출동향><나일론코드 수출동향><타이어의 원재료 구성비율> <화학저널 2014년 4월 14일>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폴리에스터, DMT로 리사이클한다! | 2025-09-25 | ||
[석유화학] P-X, 폴리에스터 침체에 떨어진다! | 2025-07-11 | ||
[석유화학] PTA, 폴리에스터 부진에 “흔들” | 2025-07-11 | ||
[석유화학] MEG, 폴리에스터 부진에 감산고려 | 2025-07-04 | ||
[석유화학] P-X, 폴리에스터와 동반 “상승” | 2025-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