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이건재 교수팀, 압전박막소재 활용 … 발전효율 40배 높아
화학뉴스 2014.05.15
국내 연구진이 미세한 움직임만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나노발전기의 효율 향상기술을 개발했다.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이건재 교수 연구팀이 유연한 압전 박막소재를 이용해 기존보다 효율이 40배 정도 높은 나노발전기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5월15일 발표했다. ![]() 나노발전기는 나노 크기 물질에 미세한 압력을 가하거나 구부리기만 해도 전기가 발생하는 압전 효과를 이용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전선이나 배터리가 없어도 에너지 공급이 가능해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나 심장박동기 등 생체 의료기기의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기존 나노발전기는 에너지 효율이 낮고 제작공정이 복잡해 상용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고온에서 결정화된 고효율 압전 박막물질을 딱딱한 기판에서 유연한 플래스틱 기판으로 옮겨 대면적으로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유연한 기판 위에 만들어진 나노발전기를 미세하게 구부려 만든 에너지로 LED(Light Emitting Diode) 105개를 작동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이건재 교수는 “새로 개발한 나노발전기는 바람이나 진동, 소리와 같은 미세한 에너지는 물론 인체의 심장 박동, 혈액 흐름, 근육 수축·이완 작용 등으로 발생하는 생체역학적 힘으로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며 “발전 효율이 높고 대량 생산이 가능해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14/05/1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아로마틱] 방향족, 미생물로 고효율 생산한다! | 2025-05-07 | ||
[정밀화학] 화학연, 고효율 암모니아 촉매 개발 | 2025-02-18 | ||
[신재생에너지] 한화큐셀, 최고효율 탠덤 셀 개발 | 2024-12-19 | ||
[석유화학] 하니웰, ECC‧PDH 고효율화한다! | 2024-10-21 | ||
[기술/특허] 열분해유, 경질 올레핀 고효율 생산 | 2024-09-09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