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조원 투입해 1/100 가격에 넘겨 … 77억원 부지‧시설물은 무상으로
화학뉴스 2014.11.14
한국석유공사는 2조원 상당을 투자한 캐나다 하베스트(Harvest)의 정유 사업부문 NARL을 불과 200억원에 미국 상업은행에 매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매각 과정에서 NARL의 부지와 시설물의 자산 가치를 한 푼도 인정받지 못하고 오히려 7000억원이 넘는 NRAL의 부채를 석유공사가 떠안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새정치민주연합 MB정부 해외자원개발 국부유출 진상조사위원회의 노영민 위원장은 11월13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자체 조사작업 결과를 공개했다. 노영민 위원장에 따르면, 석유공사가 NARL을 미국계 상업은행 실버레인지(Silver Range)에 팔면서 받기로 한 매각 대금은 200억원 내외로 알려졌다. 석유공사는 2009년 하베스트의 지분 100%를 인수할 당시 하베스트 이사회 요구에 따라 수익을 내지 못하던 NARL을 끼워팔기 식으로 함께 인수했다. NARL 인수에 들어간 비용은 매입금액과 경영권 프리미엄을 더해 1조1000억원 가량이었다. 그러나 5년 동안 인수금액 1조1000억원 모두 자산 손실됐으며 인수 이후 추가 설비투자 손실 4763억원, 운영비 손실 5830억원 등 총 1조59억원의 추가 손실이 발생했다. 매입대금과 손실을 합하면 2조원을 상회한다. 석유공사는 재무적 부담을 가져오는 NARL을 털어내기 위해 8월부터 미국 상업은행과 비밀유지 계약을 진행해 왔던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매각 과정에서 총 191만4000㎡에 달하는 NARL의 부지와 기존 시설물에 대한 가치가 제로로 평가된 점이다. NARL 부지는 2월 전문 평가기관으로부터 77억원 상당으로 평가된 바 있으나 사실상 무상으로 넘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버레인지가 NARL의 모든 채권·채무관계를 정리하고 인수하겠다고 주장해 석유공사가 NARL의 부채 7260억원을 부담하게 됐다. 석유공사는 해당 사실을 모두 인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영민 위원장은 “인수한 지 5년 만에 부채만 떠안고 가치를 제로로 매각했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결국 2조원이 허공으로 날아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석유공사는 NARL을 갖고 있을수록 적자만 발생하기 때문에 팔아서 처분한 것만으로도 다행이라는 입장”이라며 “MB정권의 정책적 목적에 공기업이 발맞추다 보니 국부유출이 이루어 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화학저널 2014/11/14>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석유공사, 시추 앞두고 사장 교체? | 2024-06-11 | ||
[에너지정책] 석유공사, 이스라엘 보복에 촉각 | 2024-04-16 | ||
[환경화학] SKI, 석유공사와 CCS 협력 | 2021-09-17 | ||
[에너지정책] 한국석유공사, 김동섭 사장 취임 | 2021-06-08 | ||
[에너지정책] 한국석유공사, 김동섭 사장 내정 | 2021-06-08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