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알을 낳는 시장으로 인식돼 성장세가 지속되던 수처리제가 1998년 외환위기로 인한 수요처의 가동률 하락과 강우량에 따른 수질개선 등으로 위축국면을 맞고 있다. 정부에서는 기존의 수질관련 환경기준이 현재의 변화된 환경과 맞지 않다고 판단해 속속 보고서를 내놓고 있으며, 물과 관련된 환경기준을 재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1998년 3월1일부터 폐수 배출시설 과징금 처분대상에 제조업의 배출시설을 추가하고 기존에 1억원 이하였던 과징금을 3억원 이하로 상향 조정했다. 이에따라 수처리에 대한 관심은 더 높아지고 있으며, 수처리제 또한 호기를 맞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IMF 관리체제 이후 1998년 제조업의 가동률이 1997년에 비해 20-40% 감소해 수처리제 수요가 감소, 급격한 위축세를 보이고 있다. 또 1997년과 1998년 여름의 강우량이 많아 수원의 수질이 개선됨으로써 수처리약품 사용이 감소하고 원가절감 차원에서 교체시기를 연장하는 등 악재가 겹치고 있다. 수처리제 관련업계에서는 1998년 평균 판매량이 20%가량 감소했으며, 원료가의 상승으로 채산성을 맞추기도 어려웠다고 주장하고 있다. 1999년에는 수입규제 대상에서 해제되는 품목도 있어 수입제품이 대거 진입할 것으로 보이며 수처리제 시장의 새로운 판도가 예상된다. 표, 그래프: | 폐수 배출업소(1998)>, | 폐수 발생량(1998)>, | 폐수 방류량(1998)>, | 방류 부하량(1998)>, | 전국 오수 수급현황 및 계획>, | 전국 폐수 발생량 및 방류량 현황>, | 활성탄 수입추이>, | 활성탄 수출입실적>, | 폐수 배출업소 및 발생 방류량 현황(1998)>, | 양이온교환수지 가격추이>, | 이온교환수지 수요구성비(1998)>, | 이산화염소 수요추이>, | 고분자응집제 시장점유율(1998)>, | 황산알루미늄 관납현황>, | PAC 관납현황>, | PAC의 관납단가추이 | <화학저널 1999/7/1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농화학] 농약, 일본이 국내시장 “군침” | 2025-09-23 | ||
[바이오연료] 현대오일뱅크, 국내 SAF 시장 진출 | 2025-09-22 | ||
[신재생에너지] 한화큐셀, 국내 PPA 사업 확대 | 2025-07-16 | ||
[신재생에너지] SKI, 국내 최대 해상풍력단지 가동 | 2025-05-2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바이오연료] SAF, 미국, 세제혜택 타고 성장 국내시장도 활성화 “기대” | 2025-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