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 8월 31일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시장이 본격적으로 성장궤도에 오르기에는 시간이 조금 더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CNT는 개발속도가 더디고 수요 신장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공급과잉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CNT 생산기업들은 수년 째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생산량의 대부분이 연구개발용으로 채용되는데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CNT는 강도와 유연성이 뛰어난 차세대 신소재로 경쟁 소재에 비해 특정물성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탄소 6개의 육각구조 관 모양으로 전지, 콘덴서, 반도체 등에 다양하게 응용이 가능하며, 철의 100배에 이르는 인장강도와 구리보다 1000배 높은 전기전도성을 강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CNT는 하나의 튜브로 이루어진 단일벽(SWCNT: Single Walled CNT)과 여러 개의 튜브를 겹쳐 만들어진 다중벽(MWCNT: Multi Walled CNT)으로 구분되고 있다. 표, 그래프: <CNT의 구조>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나노소재]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양자점 규명 | 2020-11-05 | ||
| [나노소재] 옥시알, 탄소나노튜브 솔루션 공개 | 2019-03-20 | ||
| [화학경영] 제이오, 탄소나노튜브 사업 확대 | 2015-11-13 | ||
| [나노소재] 탄소나노튜브 대면적 정제기술 개발 | 2014-11-17 | ||
| [나노소재] 탄소나노튜브로 생체 연료전지 개발 | 2014-06-1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