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완벽한 미백소재 찾지만…
|
신뢰도 떨어져 성능구현 미미 … 일부 소재는 독성으로 사용규제
2015년 11월 16일
신뢰성을 확보한 미백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피부 침착은 멜라닌(Melanin), 베타카로틴(β-Carotene), 혈액 등에 따라 결정되고, 특히 멜라닌 색소가 피부 미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멜라닌은 피부 표피의 가장 아래에 위치한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에서 생성되며 멜라닌은 흑색이나 갈색을 띠는 Eumelanin과 적색이나 황색을 띠는 Pheomelanin로 구분되고 있다. Pheomelanin은 자외선 차단기능이 없어 피부암을 유발하고 Eumelanin은 자외선 차단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검은 피부는 멜라닌 2개 모두 함량이 높고 Pheomelanin에 비해 Eumelanin이 많아 멜라닌 합성 효소인 Tyrosinase 함량도 많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에너지정책] 바스프, 한국산 화장품 원료 사업 확대 | 2025-11-11 | ||
| [퍼스널케어] DX, 화장품 천연소재 탐색 효율화… | 2025-11-04 | ||
| [퍼스널케어] 동성케미컬, 화장품에 동결건조 기술 적용 | 2025-10-22 | ||
| [바이오폴리머] CJ제일제당, 화장품 용기 PHA화 | 2025-09-17 | ||
| [퍼스널케어] 에보닉, 화장품 원료 사업 강화 | 2025-08-12 |






















